동경 ()

김광섭의 동경 중 표지
김광섭의 동경 중 표지
현대문학
문헌
대동인쇄소에서 김광섭의 시 「고독」 · 「독백」 · 「소곡에서」등을 수록하여 1938년에 간행한 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동인쇄소에서 김광섭의 시 「고독」 · 「독백」 · 「소곡에서」등을 수록하여 1938년에 간행한 시집.
서지적 사항

A5판, 104면. 1938년 대동인쇄소(大東印刷所)에서 간행하였다.

내용

구성은 첫머리에 이헌구(李軒求)의 서사(序詞)가 있고, 다음에 Ⅰ·Ⅱ·Ⅲ·Ⅳ부로 나뉘어 38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으며, 마지막으로 저자의 발문(跋文)이 있다.

Ⅰ부에 <고독>·<독백>·<소곡(小谷)에서>·<추상 秋想>·<동경>등 12편, Ⅱ부에 <개성 個性>·<나의상상(想像)>·<나상 裸想>·<촉화 燭火>등 10편, Ⅲ부에 <백지 白紙>·<까치>·<밤>·<로맨스>·<길>·<밀려난 조개껍데기> 등 8편, Ⅳ부에 <우수 憂愁>·<청춘>·<범>·<자화상 37년> 등 8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헌구는 머리말에서 “이 시집은 이 땅의 삼십년대 인텔리의 지성(知性)의 비극을 추출(抽出)한 우수의 기록”이라고 말하였다. 이러한 단정은 이 시집에 수록된 <자화상 37년> 같은 작품에서 명백히 드러나고 있다.

거기에서는 “아침에 나간 청춘이/저녁에 청춘을 잃고 돌아오며”, “드디어 우수를 노래하여/익사이전(溺死以前)의 감정을 얻었다.”고 노래하고 있다.

이 시집에서 드러나는 것은 일종의 불안과 우수이며 이와 같은 경향은 1930년대라는 시대적 배경을 무시하고는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장미(薔薇)를 잃은 해’, ‘포성(砲聲), 절망(絶望), 하늘을 흐리든 날’, ‘니힐’ 등의 시어에서 시대의 분위기를 민감하게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1930년대의 시문학파가 심화된 서정성 속에 시대정신을 내면화시켜갔음에 반하여, 여기 수록된 작품은 지적인 관념어를 구사하여 시대정신을 표현하였다.

이와 같은 경향에서 볼 때 작품이 사변적·관념적이고 표현에 있어서도 추상어·관념어가 나열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 된다. 또 ‘지적인 관념’을 중요시한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형상적 표현에 관심을 덜 기울였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시집의 시는 기교보다도 내용을 중시하는 편향성을 띤다. “사유의 향방(向方)과 논리의 위상(位相)이/모도다 그 좌표(座標)를 일흘지라도/배리(背理)는 싯츨 수 없는 영원한 흑점(黑點)이다.”와 같은 구절에서 위에 언급한 특징을 느낄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저자는 꼬리말을 통하여 “추상된 세계란 현실을 통하여서의 이상(理想)이거나 반역”이라고 말하였다. 앞에서 언급한 작품의 특징은 작가 자신의 시정신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념성의 시적 지향은 시문학파의 기교성과 서정성, 그리고 모더니즘시의 회화적 수법을 지양하려 한 창조적 시도로서 가치가 있다. 그 극복의 방법이 바로 식민지 현실을 추상화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광섭시집 동경을 읽고」(정인섭, 『동아일보』, 1938.7.17∼19.)
「김광섭 동경을 읽고」(김상용, 『조선일보』, 1938.11.20.)
「김광섭론」(김현승, 『창작과 비평』 13, 1969)
「김광섭론-전기·시세계의 탐색-」(장백일, 『한국현대문학론』, 관동출판사, 1978)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