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역사 ()

근대사
문헌
1906년 12월에 유근과 원영의가 저술하고 장지연이 교열하여 발행한 초등용 국사 교과서.
이칭
이칭
신정동국역사(新訂東國歷史)
문헌/도서
저술 시기
근대
간행 시기
1906년 12월
저자
유근|원영의
편자
장지연
책수
2권 2책
출판사
학부편집국
내용 요약

『동국역사(東國歷史)』 또는 『신정동국역사(新訂東國歷史)』는 1906년 12월에 유근과 원영의가 저술하고 장지연이 교열하여 발행한 초등용 국사 교과서이다. 휘문의숙 등 사립학교에서 국사 교과서로 활용되었으나, 1908년 교과서 검정제가 시행되면서 학부 검정을 통과하지 못하여 학부 불인가 역사 교과서가 되었다.

정의
1906년 12월에 유근과 원영의가 저술하고 장지연이 교열하여 발행한 초등용 국사 교과서.
구성과 내용

1906년 12월, 유근(柳瑾), 원영의(元泳義)가 저술하고 장지연(張志淵)이 교열하여 발행된 후 휘문의숙 등 사립학교에서 국사 교과서로 활용되었다. 1908년 ‘교과용도서검정제’가 시행되면서 학부 검정을 받았으나 통과하지 못하여 학부 불인가 역사 교과서가 되었다.

2권 2책 총 330면의 국한문혼용으로 단군에서 고려시대까지 주1로 기술되었다. 장지연이 작성한 서문에서는 역사를 통해 민족정신을 고취하여 애국심을 기르고 실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역사를 가르쳐야 하며, 역사 교육을 위해 교과서를 저술, 출판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권1의 구성은 단군조선기, 기자조선기, 부(附)위만조선기(4군2부), 삼한(마한기, 진한기, 변한기), 삼국(신라기, 고구려기, 백제기, 부(附)가락기) 신라기로 이루어졌다. 권2는 고려기 상, 고려기 하로 구성되었다.

공저자인 원영의는 『 국조사』를 구술했는데, 인쇄본이 아닌 등사본으로 전해지고 있다. 내용은 조선시대, 즉 태조부터 순종 황제 시기, 1909년 12월까지를 다루고 있어 지어진 시기는 1910년경으로 추측된다. 고려시대까지만 서술한 『 신정동국역사』의 후속편으로 저술한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으나 확실치 않다.

『신정동국역사』는 단군조선, 기자조선, 삼한으로 이어지는 정통론을 따랐다. 동시기에 저술된 다른 국사 교과서에서 단군-기자-마한-삼국-통일신라의 체계를 취하며 삼한 중 마한을 중심으로 서술한 반면, 『동국역사』는 마한, 진한, 변한을 각각 서술하였다.

삼국과 함께 가락국을 서술하고, 발해를 별도로 다루지는 않았으나 신라와 고려를 서술하는 가운데 고구려의 계승자라는 것과 신라에서 발해를 북국으로 인식하고 있었다고 적고 있다. 고려시대의 경우 정치, 경제, 대외관계, 민란 등을 상세히 다루었다.

저자인 유근과 교열자 장지연은 『신정동국역사』 외에도 1908년 『 초등본국역사』, 1910년에는 『 신찬초등역사』를 저술하고 교열하였다.

의의 및 평가

편년체 체제의 왕조를 중심으로 서술하는 전통적 역사 서술 방식을 고수하였으나, 애국심과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역사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과 역사 교육에 필요한 교과서로 사용하기 위해 저술, 편찬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참고문헌

논문

최효미, 「유근(1861~1921)의 초등국사교과서 편찬과 역사인식변화」(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양정현, 「근대 개혁기 역사교육의 전개와 역사 교재의 구성」(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과 박사학위논문, 2001)
김여칠, 「1906년 이후의 국사교과서에 대하여」(『역사교육』 36, 1984)
주석
주1

역사 서술 체제의 하나. 역사적 사실을 연대순으로 기록하는 기술 방법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소영(건국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