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래 ()

목차
관련 정보
대동여지도 / 동래, 왜관, 좌수영
대동여지도 / 동래, 왜관, 좌수영
인문지리
지명
부산광역시 동래 지역의 옛 지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 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장산국(萇山國, 또는 萊山國, 居漆山國)이었는데 신라가 취하여 거칠산군이라 하였으며, 757년(경덕왕 16)에 양주(良州) 영역의 동래군으로 고쳐 동평(東平) · 기장(機張)의 두 현을 영현으로 삼았다. 1018년(현종 9) 울주(蔚州)의 임내(任內)로 하여 뒤에 현령을 두었다.

조선 태조가 처음으로 진(鎭)을 설치하여 병마사(兵馬使) 겸 판현사(判縣事)를 두었고 뒤에 현령으로 바꾸었다. 그 뒤 1547년(명종 2)에 이곳이 왜인의 상륙 지점이라는 지리적 중요성으로 인해 도호부로 승격시켰다.

1895년(고종 32)에는 동래부가 되어 관찰사가 10개 군을 관할하는 치소였으나, 그 뒤 경상남도에 편입되었으며 도청은 진주에서 부산으로 옮겼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기장군을 합하여 동래군이 되었으며, 1951년 부산부에 편입되면서 동래 출장소가 설치되고 1957년에 부산시 동래구로 되었다.

동래라는 지명은 3세기 때 기록인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에 이곳 동래 지방을 독로(瀆盧)라고 한 데서 나왔다고 하며, 일설에는 영도(影島)에 있는 봉래산(蓬萊山)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한다.

조선 시대에는 왜국과의 관계로 이곳이 군사적으로 중시되었던 곳이다. 이곳에는 경상도의 좌수영(左水營)이 있어 부산포(釜山浦) · 다대포(多大浦) · 서생포(西生浦) · 개운포(開雲浦) · 두모포(豆毛浦) · 서평포(西平浦) · 걸이포(乞伊浦) 등의 속진(屬鎭)을 직접 관할하였으며, 65척의 각종 전함(戰艦)이 있었다.

육군은 효종 때 동래진(東萊鎭) · 독진(獨鎭)을 설치하여 도호부사(都護府使)가 겸임하면서 양산(梁山) · 기장(機張)을 관할하였다. 당시에는 부산포 부근에 왜관(倭館)이 설치되었으며 부산창(釜山倉)을 설치하여 동래 · 울산 · 기장의 세곡(稅穀)을 거두어 왜국과 거래하는 데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곳의 온천장은 신라 때부터 이용하였고, 조선 숙종 이후 숙박 시설을 설치하였다. 이곳의 명승지로는 동래산성금강공원 등이 있는 금정산(金井山)과 678년(문무왕 18) 의상(義湘)이 창건한 범어사(梵魚寺)가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
『경상도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증보문헌비고』
『대동지지(大東地志)』
『조선각도읍지』(민중시론사, 1937)
『부산시지』(부산시사편찬위원회, 1974)
『한국지명요람』(건설부국립지리원, 198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