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번한 ()

목차
고대사
지명
고조선시대 중국의 연(燕)과 경계가 된 지역의 명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조선시대 중국의 연(燕)과 경계가 된 지역의 명칭.
내용

고조선은 서기전 4세기 말에서부터 서기전 3세기 초에 걸쳐서 요동으로 진출하려는 연과 대립하였다. 그런데 연은 소왕(昭王) 때의 유능한 장수였던 진개(秦開)에 의하여 동방침략이 크게 진척되어 서기전 300년을 전후한 시기에 요하(遼河) 상류에 근거를 두고 있던 동호족(東胡族)을 원정하는 한편, 고조선지역으로 침입해 왔다.

『삼국지』에 인용된 『위략(魏略)』에 의하면, 이 때 연은 고조선의 서쪽 땅 2,000여리를 빼앗고, 만반한이라는 곳에 이르러 고조선과 경계를 삼았다고 한다. 이 만반한은 『한서』 지리지에 보이는 요동군의 속현(屬縣)인 문현(文縣)과 반한현(番汗縣) 두 현의 합칭인 것이 확실하지만, 반한현의 현재 소재지에 관해서는 확실하지가 않다.

다만 문현을 랴오둥반도 서안(西岸)에 소재한 영구(營口)의 남쪽인 개평(蓋平)으로 비정하는 견해와, 반한현을 평안북도 박천(博川)에 비정하는 견해를 따른다면, 결국 만반한은 개평에서부터 박천강 유역을 연결하는 선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사기(史記)』
『한서(漢書)』
『삼국지(三國志)』
「위씨조선흥망고(衛氏朝鮮興亡考)」(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韓國古代史硏究)』, 박영사, 1976)
「삼한(三韓)의 성립과정(成立過程)」(천관우, 『사학연구(史學硏究)』 26,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