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창월가 ()

매창월가
매창월가
고전시가
작품
조선 전기에 이인형(李仁亨)이 지은 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이인형(李仁亨)이 지은 가사.
개설

1929년경에 간행된 판본 『매헌선생실기(梅軒先生實記)』에 실려 있다. 뒤에 간행된 『매행양선생입조실록(梅杏兩先生立朝實錄)』과 『매헌선생문집(梅軒先生文集)』에는 실리지 않았다.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오던 68세 때인 1503년(연산군 9)경에 지은 것이다.

구성 및 형식

「매창월가」는 모두 19구로 된 비교적 짧은 형태의 단형가사이다. 가사의 정격구(正格句)인 4율어구와 아울러 2·3율어구가 다양하게 올 섞인 이형적(異形的) 율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한 가운데서도 구의 조화로운 배포(排鋪)로써 율격의 균제미(均齊美)를 보이고 있다. 또한 서사(序辭)로서의 기구(起句)와 본사(本辭)로서의 승구(承句)를 이어 고유시의 독특한 율격 단위인 척구(隻句)가 수반된 전결구(轉結句)를 결사(結辭)로 마무리한 정제된 형태의 정격가사이다.

내용

이 가사는 매(梅)·창(窓)·월(月)에 대한 체험적 의미로써 감발된 시정(詩情)이 보다 경험적이고도 지적인 의미를 더하여 구체적인 사상(事象)으로 분리되면서 시정이 확산되어 임포(林逋)와 매(梅), 도잠(陶潛)과 창(窓), 이백(李白)과 달[月]을 대응시켰다.

매·창·월이란 자연과 조형(造形)을 인격화하여 문답하는 기법으로 고인(古人)들의 탈속(脫俗)과 은일(隱逸)과 낙천적인 생활의 경지를 동경하고, 그 시정을 마음껏 기리고 그렸다. 거기에 자신의 시정을 기탁하여 고인과 함께 하지 못하는 안타까움과 삶의 덧없음을 슬퍼하며 세속을 떨치고 풍류로운 청담(淸談)으로 생왕(生旺)의 즐거움을 누리면서 은일 자적(自適)하고자 하는 뜻을 담았다.

의의와 평가

뛰어난 기교와 격조 높은 시취(詩趣)로 한 폭의 그림처럼 표백(表白)된 시상(詩想)을 형상화한 한정가사(閑情歌辭)이다.

참고문헌

『매헌선생실기(梅軒先生實記)』
『매향양선생입조실록(梅杏兩先生立朝實錄)』
『매헌선생문집(梅軒先生文集)』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한국문학통사』2(조동일, 지식산업사, 1994)
「매창월가고(梅窓月歌考)」(홍재휴, 『어문학』56, 한국어문학회, 1995)
「이인형(李仁亨)의 매창월가(梅窓月歌) 고찰(考察)」(이상보, 『현대문학』257, 197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