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견도 ()

목차
관련 정보
맹견도
맹견도
회화
작품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동물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동물화.
내용

종이바탕에 수묵담채. 세로 44.2㎝, 가로 98.5㎝.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910년대에 서울 북촌의 어느 집에서 발견된 뒤, 한때 김홍도(金弘道)의 작품으로 알려졌으나, 그림의 왼쪽 상단부에 있는 ‘士能(사능)’과 ‘金弘道(김홍도)’라는 주문방인(朱文方印)이 고희동(高羲東) 등에 의하여 찍혀진 가짜 도장임이 밝혀져, 지금은 작자 미상으로 되어 있다.

이 그림은 구도나 화면의 여백으로 보아 좀더 큰 작품에서 개를 중심으로 잘려져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굵은 쇠사슬에 묶인 채 기둥 밑에 웅크리고 엎드려 있는 한마리의 맹견을 소재로 삼았으며, 전통적인 재료에 서양화의 기법을 채용하여 다루어졌다.

정면을 응시하며 엎드려 있는 개의 자세는 세밀한 관찰을 바탕으로 정확하게 묘사되었고, 짧은 필치와 설채(設彩)에 의하여 처리된 털의 모습은 개의 근육과 관절의 구조를 암시하며, 대상의 입체감을 살리는 데 기여하고 있다.

그리고 건물의 기둥과 마룻바닥도 음영법과 투시도적인 시각으로 표현되어 있어 사실성을 높여 주고 있다. 이러한 명암법과 투시도법은 모두 조선 후기에 전래되었던 서양화법을 특징짓는 요소들로서, 천주교 전래에 따라 청나라에 유입되었던 서양화 등의 영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이 그림은 우리나라 화단에 서양화법이 수용되는 초기의 과정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그러나 이 그림의 국적문제와 제작연대 등에 대해서는 좀더 깊은 고증이 요망된다.

참고문헌

『한국미술전집(韓國美術全集)』 12 -회화(繪畵)-(최순우 편, 동화출판공사, 1972)
「국립박물관소장(國立博物館所藏) 맹견도(猛犬圖)에 대한 의문점(疑問點)」(이경성, 『고고미술』129·130, 197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