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광회 ()

목차
근대사
단체
1941년 일본 동경에서 조직되었던 유학생 독립운동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41년 일본 동경에서 조직되었던 유학생 독립운동단체.
내용

동경고등공과학교 학생 문장희(文章熙)가 같은 학교 학생 여창현(呂昌鉉)·정오현(鄭午鉉)·박갑순(朴甲錞)과 함께 1941년 3월에 조직하였다.

회원을 대상으로 독립정신을 고취시켜 단체를 결성한 뒤 봉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조직되었다. 회원들은 서약서를 교환하고 맹약하였으며, 명광회라고 새긴 반지를 만들어 항상 휴대하였다.

일제의 탄압을 피하기 위하여 표면적으로는 합법단체임을 가장하였고, 회원들은 국방복(國防服)을 입고 일제에 충성하는 것처럼 행동하였다. 여러 차례의 비밀회합을 통하여, 첫째 각자의 기술을 연찬(硏鑽)하여 그 연성(鍊成)에 노력할 것, 둘째 그 지식을 조선 청소년에게 심어 지도계몽할 것, 셋째 동지의 획득에 노력하고 단결력을 확대강화할 것, 넷째 과학의 힘과 단결력으로 목적을 달성할 것을 다짐하였다.

그러나 회세(會勢)의 확장에 노력하던 중 1941년 9월 일본경찰에 발각되어 회원 전원이 잡혔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자료집』 13(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