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장지도 ()

산업
문헌
국가유산
조선후기 문신 허목이 전국의 목장 소재지를 그려 넣은 지도집. 지도첩.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목장지도(2008-1)(牧場地圖(2008-1))
분류
유물/과학기술/천문지리기구/지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8년 12월 22일 지정)
소재지
서울 서초구 반포대로 201, 국립중앙도서관 (반포동,국립중앙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문신 허목이 전국의 목장 소재지를 그려 넣은 지도집. 지도첩.
개설

200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권(42면). 원색(原色) 필사본. 전국의 목장 소재를 지도에 그려 넣고 소와 말, 그리고 목자(牧子)의 통계와 목장의 면적 등을 기재하였다. 이 책은 본래 허목이 처음 지은 것이 아니라, 그 전의 『목장지도』를 보완한 것이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발간 경위

『목장지도』 후서(後序)를 보면, 1635년(인조 13) 장유(張維, 15871638)가 쓴 근서(謹敍)를 인용하고 있는데, 장유가 당시 제조(提調:관제상 그 기관의 우두머리가 아니면서 그 기관의 일을 다스리는 벼슬)로 있던 이서(李曙, 15801637) 밑에서 사복시정(司僕寺正)으로 있을 때 『목장지도』를 지어 올린 적이 있다고 되어 있다. 또한 효종 때 사복시제조 정태화(鄭太和, 1602~1673)가 정비하여 모사(模寫)하였고, 이것을 허목이 다시 정비했다는 내력이 소상히 열거되어 있다.

그러나 이 『목장지도』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는 동안 산질(散秩)되었다. 뿐만 아니라 그간 목장의 변동도 있었고, 효종의 북벌계획으로 마정(馬政:말의 사육, 품종 개량, 번식, 수출입 등에 관한 행정)의 새로운 개혁도 필요하게 되어 이 지도의 재정비가 요청되었다. 이때 현존 또는 폐장된 목장을 구별해 놓은 것이 바로 이 『목장지도』이다.

내용

이 지도의 구성은 첫 장에 진헌마정색도(進獻馬正色圖)가 있고, 이어서 도별 · 군별의 목장 소재지 지도와 현존 및 폐장 수, 우마필수, 목장 면적 등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끝에 『목장지도』 후서 등이 있어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장의 진헌마정색도는 한 마리의 자마(仔馬)를 포함하여 21마리의 진헌마(進獻馬)에 대한 원색 그림이 있는데, 뚝섬[纛島] · 신촌(新村) · 광나루[廣津] · 중랑포(中浪浦) 등의 지명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장소는 도성 근방인 것으로 보이며, 21마리의 말은 각기 특색 있는 털색으로 되어 있고 체형으로 보아 중국의 말로서 준마(駿馬)의 형상이다.

목장 안에는 화양정(華陽亭)과 말을 치료 또는 관리하는 것으로 보이는 환장(環場), 그리고 자마장(雌馬場)과 전관(箭串) 등이 각기 격리되어 있다.

다음으로 각 도에 산재한 138개 소의 목장 소재지 지도가 있고 목장마다의 면적 · 마필수(馬匹數) · 목자 · 감목관(監牧官) 등의 통계가 병기되어 있다. 목장 소재지 내용을 보면, 목장은 대부분 섬이나 바다에 돌출한 반도 등지에 위치하고 있다.

후서에는 마정(馬政)이 국가의 중요한 업무라는 점, 섬이나 반도처럼 농작물 생산이 안 되는 곳에 목장을 만들었으며, 이러한 지역이 없는 강원도에는 설장이 안 되었다는 점, 그리고 선조 때의 목장수와 감목관의 배치상황과 함께 전국 목장의 소장관계(消長關係)에 관한 내력이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당시의 마정과 목장에 관한 시책을 엿보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농림수산고문헌비요』(김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2)
『이조농업기술사』(이춘녕, 한국연구원, 196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