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재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노광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노광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0권 5책. 목활자본. 1905년 후손 근수(近壽)·정현(正鉉) 등이 편집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돈우(李敦禹)·김인섭(金麟燮)·홍재탁(洪在鐸) 등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정환주(鄭煥周)·민치량(閔致亮)·근수·정현 등의 발문이 있다. 계명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만사 357수, 권3∼5에 서(書) 172편, 권6에 서(序) 15편, 기 20편, 발 5편, 권7·8에 상량문 2편, 제문 23편, 축문 2편, 권9에 전(傳) 4편, 묘갈명 9편, 잡저 16편, 권10은 부록으로 가장(家狀)·행장·묘갈명 각 1편, 기 3편, 제(題)·서(序) 각 1편, 만사 37수, 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학문의 내용을 읊은 것이 많다. 그 가운데 「독대학(讀大學)」과 「독중용(讀中庸)」은 각기 『대학』과 『중용』을 읽고 그 심오한 이치에 느낀 감동을 표현한 것이다. 서(書)는 주로 친구들과 주고받은 것으로 학문적인 내용은 없다.

서(序) 중 「향사당조약서(鄕射堂條約序)」는 향사당을 만들고 7개 조항의 규약을 제정, 시행할 것을 결의하고 그 만들게 된 경위와 동기를 적은 것이다. 「도원강의서(道院講義序)」는 도원에서 도생이나 사장(師丈)이 지켜야 할 수칙을 마련하고 철저히 이행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다.

잡저의 「학령(學令)」은 학당에 대해 학문의 요점을 제시한 것이다. 인륜(人倫)·처심(處心)·행사·학문·변화·기질·대인(對人)·수물(受物) 등에 특히 주의할 것을 강조하였다.

기에는 곡성향교의 대성전을 중수하면서 그 내력을 밝힌 「곡성향교대성전중수기(谷城鄕校大成殿重修記)」와 산수의 아름다움을 기록한 「방화정기(訪花亭記)」·「관수정기(觀水亭記)」 등이 있다.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