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타신앙(彌陀信仰)의 한 형태로서, 미타신앙과 관계되는 『무량수경(無量壽經)』·『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아미타경』 중 『아미타경』을 독송하거나 “나무아미타불”을 염불하면서 예경(禮敬)하고 참회하게 된다.
『아미타경』을 독송하는 원래의 의미는 경전 속에 담긴 정토(淨土)신앙의 사상적인 면을 이해하고 아미타불에게 귀의하여 아미타불의 타력(他力)의 공덕으로 극락왕생을 발원하는 목적이 있었으나, 차차 독송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고 극락왕생의 공덕이 중요시되며 송경의식(誦經儀式) 중심으로 의식화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불교의 전래 이래 서방극락정토의 왕생을 바라는 신앙인들이 많아져 삼국시대부터 미타참법이 크게 성행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신라 경덕왕 때 미타사(彌陀寺)에서 불교신도 10여명이 조직한 염불만일계(念佛萬日契)의 참회기도를 비롯하여, 당시에 현신(現身)으로 극락정토에 왕생한 욱면(郁面)의 미타참법, 오대산 서대(西臺)의 미타방(彌陀房)이 중심이 되어 전개되었던 미타예참 등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