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국수

목차
관련 정보
밀국수
밀국수
식생활
물품
밀가루로 만든 국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밀가루로 만든 국수.
내용

밀은 피·기장·조보다 조금 뒤늦게 이 땅에 들어왔으며, 이것으로 국수를 만들어 먹은 것은 고려 때부터였다.

그런데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의하면 밀의 수확량이 적어 중국으로부터 수입을 할 정도였으므로, 밀국수는 성례 때나 쓰는 귀한 음식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도 밀국수는 여전히 귀한 음식이었고, 민속적 의미까지 부여되어 각종 잔칫상에 올려졌다.

곧 첫돌에는 오복(五福)을 비는 의미로, 혼례 때는 여러개의 국수가락이 잘 어울리고 늘어나는 것처럼 부부의 금슬이 잘 어울리고 늘어나라는 의미로 각각 잔칫상에 올려졌다. 또, 회갑상에도 밀국수장국을 말아 올리는 것이 상례였는데 이것은 장수를 비는 뜻에서였다.

이 밖에도 더위를 쫓는다고 하여 유두일에 먹기도 하였는데, 이것은 이때가 밀의 수확기였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밀로 국수를 만들 때는 우선 맷돌에 밀을 곱게 갈아 체에 쳐서 밀가루를 만든 다음, 이것을 물로 반죽하여 국수틀에 눌러서 국수발을 만든다.

맷돌에 간 밀가루는 색이 깨끗하지 못하고 양이 적다는 단점이 있기는 하나 그 맛은 제분소에서 만든 것보다 훨씬 구수하다. 그러나 제분소가 생긴 이후로는 맷돌로 가루를 만드는 경우가 많이 없어졌다.

국수틀에서 나온 국수발은 물에 삶아 찬물에 여러 번 헹구어 사리를 지어 물기를 뺀다. 상에 낼 때는 국수사리를 그릇에 담고 장국이나 육수를 부은 뒤 채소·닭고기·편육 등을 고명으로 얹는다. 또, 닭고기를 넣은 미역국에다 국수를 넣고 물을 약간 부어 익혀 먹기도 한다.

참고문헌

『고려도경』
『한국식생활사』(강인희, 삼영사, 1978)
『한국식생활풍속』(강인희·이경복, 삼영사, 198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