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극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고려혁명군정의회 정치부 비서, 러시아공산당 수찬군당위원회 조선분과장 등을 역임한 사회주의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1년(고종 28)
사망 연도
1936년
출생지
러시아 연해주
주요 경력
고려혁명군정의회 정치부 비서|러시아공산당 수찬군당위원회 조선분과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박창극은 일제강점기 연해주에서 태어나 러시아 지역에서 활동한 한국인 사회주의 운동가로, 고려혁명군정의회 정치부 비서, 러시아공산당 수찬군당위원회 조선분과장을 지냈다. 고려공산당 창립준비대표회 준비위원회 참여하였으며, 소련공산당 블라디보스토크위원회 산하에 민족정치국 주임으로 활동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고려혁명군정의회 정치부 비서, 러시아공산당 수찬군당위원회 조선분과장 등을 역임한 사회주의운동가.
인적 사항

박창극은 1891년 러시아 연해주 니콜스크우수리스크에서 태어나 1936년에 사망하였다. 1902년 올가 타우제미 마을로 이주하여 소학교를 졸업하였다. 졸업 후 지방 관리의 추천을 받아 치타 신학교로 유학하였다. 크라스노야르스크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1908년 귀향하여 마을 서기가 되었다.

주요 활동

박창극은 1909년 한인국민회에 가입하였다. 1915년 러시아 군대에 징집되어 이르쿠츠크에서 복무하였다. 1917년 러시아 2월혁명 이후 병사소비에트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나, 부상으로 제대하였다. 1918년에는 올가 구역 조선노동자동맹 책임비서가 되었다. 시베리아 내전에서 혁명군이 밀리자 박창극은 아무르주로 옮겨 극동공화국 인민혁명군 정치부 감독관으로 일하면서 치타군의 책임서기로 근무하였다.

1921년 8월 수이푼 구역에서 항일 의용 부대인 솔밭관〔松田關〕 공산주의 부대의 정치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22년에서 1924년까지 러시아공산당 수찬군당위원회의 조선분과장을 지냈다. 1924년 5월 고려공산당 창립준비대표회 준비위원회에 참여하였으며 당원교육사무를 맡았다. 1924년에서 1926년에는 니콜스크우수리스크 집행위원회가 조직한 조선과의 전권위원, 러시아공산당 블라디보스토크위원회 산하에 민족정치국 주임으로 활동하였다.

1932년 러시아공산당의 명령으로 모스크바의 스탈린 명칭 공급아카데미에서 공부한 뒤, 졸업 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어업 트러스트에서 일하였다. 1936년 탄압을 받아 사망하였고, 1956년에 복권되었다.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시에 있는 국립아르세니예프박물관에 박창극 관련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전명혁, 『1920년대 한국사회주의 운동연구』(선인, 2006)
임경석,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역사비평사, 2004)
이현주, 『한국 사회주의세력의 형성: 1919~1923』(일조각, 2003)
강만길·성대경 편, 『한국사회주의운동인명사전』(창작과비평사, 1996)

논문

윤상원, 「러시아 지역 한인의 항일 무장 투쟁 연구(1918~1922)」(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