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하후박탕 ()

목차
의약학
개념
담음으로 인한 구토와 딸꾹질, 복부팽만, 목에 무엇인가 걸린 것 같은 증상에 사용하는 처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담음으로 인한 구토와 딸꾹질, 복부팽만, 목에 무엇인가 걸린 것 같은 증상에 사용하는 처방.
내용

『동의보감』에 수록되어 있는데, 반하 18.75g, 후박 5.625g, 백복령(白茯笭) 7.5g, 생강 9.375g, 소엽(蘇葉) 3.75g으로 구성되었고 물에 달여 복용한다.

처방 중에 후박은 이기강역(理氣降逆)하고 조습제만(燥濕除滿)하는 효능이 있어 위장의 긴장을 풀어주고 분문(噴門)과 유문(幽門)의 경련을 완화하고, 자소엽은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여 위장의 연동을 촉진한다.

담습(痰濕)에 의한 폐기역(肺氣逆)은 기관지나 인후부에 가벼운 염증, 기관지 경련, 분비의 항진, 담(痰)의 정체 등에 의해 기도(氣道)의 자극이 높아짐으로써 일어나는 해수·객담·호흡곤란 등의 증상이다.

오심·구토가 심할 때에는 진피(陳皮)·사인(砂仁)을, 팽만감이 심하면 지실(枳實)·향부자(香附子) 등을 배합하고, 식체를 겸할 때에는 신국(神麯)·맥아(麥芽)·내복자(萊葍子)를 배합하며, 타액이 많거나 설태(舌苔)가 백활(白滑)하고 복랭(腹冷) 등 위한(胃寒)의 증상을 겸하게 되면 생강을 건강(乾薑)으로 바꾸고 오수유(吳茱萸)·정향(丁香)을 배합하고, 해수가 심하면 마황(麻黃)·전호(前胡) 등을, 객담이 많을 때에는 소자(蘇子)·내복자·정력자(葶藶子) 등을 배합하여 응용한다.

참고문헌

『동의보감(東醫寶鑑)』
『완역금궤요략(完譯金匱要略)』(박헌재, 서원당, 197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