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구리

목차
관련 정보
방구리
방구리
식생활
물품
물을 길어 나르거나 음식물을 담아두는 동이모양의 작은 오지그릇.
목차
정의
물을 길어 나르거나 음식물을 담아두는 동이모양의 작은 오지그릇.
내용

모양은 동이처럼 복부(腹部)가 넓고 둥글며, 바닥과 구경(口徑)은 복부보다 약간 좁으면서 둥글다. 또한 양쪽에는 손잡이가 붙어 있고 뚜껑은 없으며, 크기는 물동이보다 약간 작다. 이러한 모양의 방구리는 질그릇으로 된 것도 있고, 오지그릇으로 된 것도 있다.

이 중 질그릇으로 된 것은, 가벼운 데다 물건을 오래 담아두면 그릇 자체에서 거무스름한 물이 우러나므로 주로 물을 길어 나르는 데만 쓰였다. 작고 가벼운 것이 그 특성인 질방구리는 특히 처녀나 젊은 새댁들의 물긷는 연습용으로 많이 이용되었다고 한다.

한편 오지방구리는 그릇 자체에서 물이 우러나는 일이 없으므로, 각종 음식을 담아두는 데 쓰였다. 곧 엿·감주·수수풀떡·호박풀떡·나박김치·기름 등을 담아 장독뚜껑이나 한지 등으로 봉해두었던 것이다.

이 밖에도 오지방구리에는 술을 걸러 담기도 하고, 녹말을 낼 때 이용하기도 하였다. 이렇듯 방구리는 우리나라에 양재기가 들어오기 이전까지 지금의 양재기처럼 다용도로 쓰였던 것이다.

따라서 방구리는 한 집에 적어도 2, 3개 정도는 구비되어 있었고, 옹기점이나 옹기를 짊어지고 다니는 떠돌이 옹기장수로부터 쉽게 구입할 수가 있었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강인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