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로사국후례두익대왕7년전사 ()

근대사
문헌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개화사상가.정치인 유길준이 프로이센의 왕 프리드리히 2세에관한 내용을 역술한 역사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개화사상가.정치인 유길준이 프로이센의 왕 프리드리히 2세에관한 내용을 역술한 역사서.
서지적 사항

1책. 국한문혼용체. 광학서포(廣學書鋪) 발행. 양지책자본(洋紙冊子本)은 100면이고, 본문 구성은 8편 31장이다. 반면 양지양장본(洋紙洋裝本)은 84면이고, 본문 구성은 8편 34장이다.

내용

프로이센의 왕 프리드리히(Friedrich) 2세가 1756년부터 1763년까지 오스트리아·러시아·프랑스와 싸운 7년전쟁의 원인·경과·결과에 대하여 서술한 책이다. 원본은 중국에서 발간된 한문본으로 추측된다.

체재는 서·목록·본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에서는, 신생소국 프로이센이 강대국들에 의하여 분할될 위기에 처했으나 후례두익대왕(프리드리히 2세)의 뛰어난 지략과 담력, 그리고 국민들의 애국하는 성(誠)과 근왕(勤王)하는 충(忠)이 하나가 되어 마침내 20배나 되는 병력을 가진 강대국을 물리치고 나라를 지킬 수 있었으며, 특히 이는 왕의 훌륭한 내치(內治), 즉 왕의 근검절약으로 인한 궁정경비의 절감, 국고(國庫)의 철저한 관리, 구휼사업, 산업장려가 뒷받침되었기에 가능하였다고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 유길준이 이 책을 역술한 의도가 드러나고 있는바, 당시 반(半)식민지하에 있는 조선도 소국인 프로이센의 경우를 교훈삼아 왕과 국민이 힘만 합치면 식민지화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음을 말하고자 한 것이 그것이다.

양지책자본의 경우, 본문은 8편 31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목차는 다음과 같다. 제1편 보국전사(普國前史), 제2편 칠년전(七年戰)의 제1년, 제3편 7년전의 제2년, 제4편 7년전의 제3년, 제5편 7년전의 제4년, 제6편 7년전의 제5년, 제7편 7년전의 제6년 및 제7년, 제8편 강화와 선후책이다.

참고문헌

『개화기의 교과용도서』(강윤호, 교육출판사, 1975)
「보로사국후례두익대왕칠년전사(普魯士國厚禮斗益大王七年戰史)」(『한국개화기문학총서 역사전기소설』 7, 아세아문화사, 197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