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처방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 첫 기록이 보이며, 승양익기부자탕(升陽益氣附子湯)을 변방(變方)한 것이다. 처방은 황기(黃芪)·인삼(人蔘)·계지(桂枝) 각각 8g, 백작약(白芍藥)·감초구(甘草灸)·당귀(當歸)·천궁(川芎)·백출(白朮)·진피(陳皮) 각각 4g으로 구성되었다.
땀이 심하면 이 처방에 관계(官桂)·건강(乾薑) 각각 4g, 부자(附子) 2g을 넣어서 사용한다. 근본적으로 소음인은 아무리 열성병이라도 발한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인데 잘못하여 사용하게 되면 이와 같은 증세가 나타나며 이를 양명실증(陽明實症)이라고 한다.
이 병의 특징은 대변불통으로 오후가 되면 높은 열이 오르고 한기(寒氣)가 없으면서도 번열(煩熱: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나는 증)이 나서 밖으로 뛰쳐나가려고 하고, 또 조갈(燥渴)이 심하여 물에라도 뛰어 들어가려고 하며, 심하면 헛소리를 하고 헛것을 본 듯하며 밭은기침을 하고 눈동자를 곧게 뜨고 인사불성이 된다. 이는 심히 위험한 증세다.
이와 같은 증상에 이 처방은 유효한데 혹 증상이 심하여 부자를 추가하여 사용하는 것은 모세혈관을 확장시키는 약리작용으로 소음인의 양명병(陽明病) 치료에 효능을 높여주기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