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

목차
관련 정보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오진탑비 정면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오진탑비 정면
서예
유적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 보현사에 있는 고려전기 에 건립된 낭원대사 개청(開淸, 835-930)의 탑비.
이칭
이칭
보현사 낭원대사오진탑비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江陵 普賢寺 朗圓大師塔碑)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강원 강릉시 성산면 보현길 396, 보현사 (보광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 보현사에 있는 고려전기 에 건립된 낭원대사 개청(開淸, 835-930)의 탑비.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비신 높이 188㎝, 너비 98㎝, 두께 20㎝. 통일신라 말 사굴산문의 선승인 낭원대사(朗圓大師)의 탑비다. 대사가 96세로 입적하자 고려 태조는 낭원대사朗圓大師라는 시호와 오진悟眞이라는 탑명을 내렸고 대사가 입적한 10년 뒤인 940년(태조 23)에 비가 건립되었다. 보현사는 통일신라 때 지장선원(地藏禪院)으로 비의 원명은 ‘고려국명주보현산지장선원낭원대사오진탑비(高麗國溟州普賢山地藏禪院朗圓大師悟眞塔碑)’이다. 비문에는 대사의 출생에서부터 경애왕이 대사의 덕을 기려 국사로 예우한 사실 및 입적하기까지 그의 행적이 실려 있다. 비문은 당대의 문장가인 최언위(崔彦撝)가 짓고 구족달(仇足達)이 쓰고 임문윤(任文伊)이 새겼다. 글씨는 2㎝ 정도의 해서로 전체적으로 구양순풍이지만 구양순의 글씨는 가로획이 대체로 우상향인 반면 구족달의 글씨는 평세를 취하고 있다. 또 가로획의 기필(起筆)과 수필(收筆), 전절(轉折) 부분이 구양순의 글씨보다 날카롭고 각이 져서 구족달의 예리하고 웅경한 필세를 느낄 수 있다.

귀부(龜趺) · 비신(碑身) · 이수(螭首) 모두 완전하다. 귀부의 귀두(龜頭)는 통일신라 말기 선사비와 같이 용두로 되어있는데 다른 비와는 달리 이수에 제액題額이 없다. 이수의 쌍룡은 보주를 다투듯 힘차게 투각되어 있으며, 이수 중앙에는 복발(覆鉢)과 1단의 상륜上輪 및 화염에 쌓인 보주가 잘 남아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6 보물 4(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한국의 미』15 석등·부도·비(정영호 감수, 중앙일보사, 1983)
『朝鮮金石總覽』上(京城: 朝鮮總督府, 1919)
집필자
선주선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