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산학자전 ()

연암집 / 역학대도전
연암집 / 역학대도전
한문학
작품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구성 및 형식

본문은 전하지 않고 그 제목만 『연암별집(燕巖別集)』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에 들어 있다. 그러나 작자 스스로 작품 제작의 경위를 밝힌 자서(自序)가 있고, 또 그 끝에 작자의 아들인 종간(宗侃)의 기록이 들어 있어서 그 내용을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으나 저작 연대는 미상이다.

내용 및 평가

작자는 자서에서 “집에서 효도하고 밖에서 공경하면 배우지 않았더라도 배웠다고 이르겠다는 말이 비록 지나친 말이긴 하나, 위덕(僞德)을 경계할 수는 있다. 공명선(公明宣)은 증자(曾子)의 문하에서 3년을 지내면서 글은 읽지 않았으나 잘 배웠다. 밭갈이하는 농부가 그 아내를 대하기를 손님처럼 하여 서로 읍(揖)하고 맞으니 눈으로 글씨를 알지는 못해도 진학(眞學)이라 하겠다. 이에 「봉산학자전」을 쓴다.”고 밝혔다.

이로 보아 봉산에 사는 어떤 농부가 글은 비록 모르나 손수 농사지으며 독실하게 행동함이 학자의 모범이 될 만하므로 「봉산학자전」을 쓴 것이 아닌가 한다. 이 작품이 없어지게 된 것은 당시 세도있던 어떤 인물을 풍자한 「역학대도전」과 연권(聯券)이 되어 있었다.

그 인물이 패하자 작자 스스로 그 작품을 불태우게 되어 같이 없어진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작품은 작자가 후기에 쓴 「허생전(許生傳)」의 저본이 되었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참고문헌

『연암집(燕巖集)』
『연암소설연구(燕巖小說硏究)』(이가원, 을유문화사, 1965)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