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정도량 ()

목차
불교
의례·행사
불교에서 불정(佛頂)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아 행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 법회의식.
이칭
이칭
불정소재도량(佛頂消災道場), 불정오성도량(佛頂五星道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불교에서 불정(佛頂)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아 행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 법회의식.
내용

불정은 부처님의 정수리에 도톰하게 솟아 있는 육계(肉髻:살이 불쑥 솟은 부분)를 뜻한다. 이는 부처님의 몸 가운데에서 가장 귀중하게 생각되는 부분으로, 이에 대한 신앙법회가 밀교의궤(密敎儀軌)에 의하여 행하여졌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에 소재(消災:재앙을 없앰)를 목적으로 불정도량이 자주 열렸다. 고려시대에는 불정도량 또는 불정소재도량(佛頂消災道場)·불정오성도량(佛頂五星道場) 등의 명칭으로 열렸다.

불정은 3불정·5불정이 있다. 3불정은 광대불정(廣大佛頂)·극광대불정(極廣大佛頂)·무량음성불정(無量音聲佛頂)을 말하고, 3부(三部)의 중덕(衆德)을 나타낸다. 5불정은 백산불정(白傘佛頂)·승불정(勝佛頂)·최승불정(最勝佛頂)·화취불정(火聚佛頂)·사제불정(捨除佛頂)을 말하고 부처의 5지(五智)를 나타낸다. 고려시대에는 3불정·5불정의 공덕에 의하여 재해를 방지하려는 법회가 궁중에서 가궐(假闕)을 지어 자주 열렸다.

불정도량과 관계되는 의식집으로는 『불정존승심의궤(佛頂尊勝心儀軌)』·『불정존승다라니경(佛頂尊勝陀羅尼經)』·『불정존승다라니염송의궤(佛頂尊勝陀羅尼念誦儀軌)』·『불정대백산개다라니경(佛頂大白傘蓋陀羅尼經)』·『불정방무구광명입보문관찰일체여래심다라니경(佛頂放無垢光明入普門觀察一切如來心陀羅尼經)』 등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불정도량이라는 명칭의 불교의식이 행하여지지 않고 있지만 불정도량에서 많이 염송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불정존심다라니가 곧 수능엄신주(首楞嚴神呪)로서, 현재 사찰에서 예불을 드릴 때에나 그 밖의 재공(齋供)이 있을 때 널리 염송되고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석문의범(釋門儀範)』
집필자
홍윤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