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천문 ()

목차
관련 정보
평창 상원사 동종 주악상
평창 상원사 동종 주악상
공예
개념
하늘에 떠 있다는 선인(仙人)을 나타낸 장식무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하늘에 떠 있다는 선인(仙人)을 나타낸 장식무늬.
내용

상상에 의한 것이므로 나라와 민족마다 그 형상과 상징이 다른데, 서양에서는 새날개[鳥翼]를 단 아이로 나타내어 천사(天使, eros, cupid, angel)라 부른다.

서기전 3000년경의 메소포타미아 인장(印章)과 서기전 1400년경의 이집트 라상에서 벌써 보이고 있으며, 고대 아시리아와 로마에서 성행하게 되었다.

동양에서는 인도 브라만시대부터 나타나는데, 불교에서는 이를 비천(飛天, 樂天 : apsara)이라 하여 항상 음악을 연주하고 꽃을 뿌리며 하늘을 떠도는 천인(天人)으로, 1세기 전후부터 널리 조형화되고 있다.

4, 5세기의 바미얀 석굴사원 석조상(石彫像)과 돈황 석굴사원의 벽화를 비롯한 중앙아시아와 중국 육조시대(六朝時代)의 화상석(畫像石)·화상전(畫像塼)에 나타나는 비천무늬들은 서방에서 페르시아를 거쳐 들어온 날개 달린 상과 인도상의 영향을 모두 받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도 삼국시대부터 영향을 받아 고구려 고분벽화와 백제 무령왕릉의 왕비 두침(頭枕) 등에 비천무늬가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통일신라 8세기 이후부터는 매우 사실적이고 화려하며 세련된 양식적 특징을 지니게 되었다. 특히, 범종(梵鐘)에 새겨진 주악공양비천(奏樂供養飛天)무늬가 대표적인데, 상원사종(上院寺鐘, 725년)·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 771년)과 실상사종(實相寺鐘) 등에서 가장 전형적인 양식을 보이고 있다.

이 밖에 막새기와에서는 좌우대칭 형식으로 많이 나타나며, 감은사탑(感恩寺塔)과 불국사석가삼층탑 사리기의 비천과 안압지에서 나온 금동비천, 그리고 승탑(僧塔, 浮屠)에 새겨진 비천무늬 등에서도 양식적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통일신라의 비천무늬는 고려·조선의 범종·승탑·단청 등을 비롯하여 각종 공예에까지 시대적인 특징을 지니면서 두루 나타나 있다.

참고문헌

『東洋文樣史』(渡邊素舟, 東京 富山房, 1977)
「신라범종신(新羅梵鐘身)에 주각(鑄刻)된 비천문(飛天文)의 연구(硏究)」(문연순, 『동국사상』12, 197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