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경회 ()

목차
관련 정보
개신교
단체
기독교에서 성서 강해와 연구를 중심으로 모인 집회.
이칭
이칭
사경반
목차
정의
기독교에서 성서 강해와 연구를 중심으로 모인 집회.
내용

사경회운동은 초기 우리나라 교회의 부흥과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고 평가되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기독교 선교사인 언더우드(Underwood, H. G, 元杜尤)는 1890년 자기 집 사랑방에 7명의 교인을 모아 놓고 성경 공부를 시작하면서 이 모임을 사경반(査經班)이라고 불렀다. 같은 해 6월 우리나라 주재 선교사회에서는 중국에서 선교 사업을 하고 있던 네비우스(Nevius, J. L.)를 초청하여 세미나를 개최하였는데, 그 결과 채택한 ‘선교 사업방안’에서 한국인 스스로가 성경을 공부하는 운동을 일으키게 하였다.

그래서 우리나라에 있던 교회들은 성경 공부에 열중하게 되었고, 각 교회 또는 선교지구를 중심으로 각 지방에서 광범위하게 사경운동이 전개되었다. 1910∼1929년까지 약 20년간 연 129만 2000명이 참석하였는데, 이는 연평균 6만 4000명이 된다.

사경회에서 강의된 주요 과목은 4복음서, 예수의 생애, 주1, 주2, 주3, 주4, 주5 등이었고, 응용과목으로 주일학교 교수법 · 경영법 · 기도법 · 개인 전도법 · 상담 · 회의법 등이 있었으며, 토의시간도 있었다. 여전도회 사경회에서는 아동교육 · 건강위생법 · 새 생활운동 등 실제적인 과정도 배려되어 있었다.

집회시간은 새벽 기도회부터 시작하여 오전에는 성경 공부를 하고 오후에는 반을 나누어 일반상식 과목을 다루었으며, 그 다음에는 모두가 흩어져 축호전도(逐戶傳道)와 노방전도(路傍傳道)를 하게 하였다. 그 뒤 이것이 부흥사경회로 발전하여 집회를 통한 심령의 체험과 영력을 얻는 계기가 되어 부흥운동의 기틀이 되기도 하였다.

사경회가 지닌 가장 큰 구실은 성경 공부를 통한 신앙훈련의 과정으로, 체험을 통하여 새로운 삶의 지혜와 능력을 얻게 하는 데 있었다. 그 뒤 일제의 압박에 의해 점차 사경회운동이 위축되고 심령부흥회와 같은 부흥운동으로 변모해 갔다.

참고문헌

『한국기독교성장사(韓國基督敎成長史)』(김광수, 기독교문사, 1976)
The Christian of Korea(Moffett, S. H., Friendship Press, New York, 1962)
주석
주1

신약 성경에서, 바울이 쓴 열세 편의 편지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사대 서신, 옥중 서신, 목회(牧會) 서신 따위로 분류된다. 우리말샘

주2

세례(洗禮)나 학습을 받을 때 주고받는, 교리에 대한 문답. 우리말샘

주3

예수가 그의 제자들에게 가르친 기도문. 신약 성경 <마태복음#GT#6장 9~13절과 <누가복음#GT#11장 2~4절에 적혀 있는데, 하나님의 나라와 그 의(義)를 구하는 것과 신자 자신의 일용할 양식ㆍ죄의 용서ㆍ악에서의 구원 따위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우리말샘

주4

하나님이 시나이산에서 모세를 통하여 이스라엘 백성에게 내렸다고 하는 열 가지 계율. 다른 신을 섬기지 말 것, 우상을 섬기지 말 것, 하나님의 이름을 망령되이 하지 말 것, 안식일을 지킬 것, 어버이를 공경할 것, 살인하지 말 것, 간음하지 말 것, 도둑질하지 말 것, 거짓말하지 말 것, 이웃의 재물을 탐내지 말 것으로, 유대교와 기독교의 근본 계율이다. 우리말샘

주5

미사 때 외움으로써 신앙 고백의 수단으로 삼는 것. 우리말샘

집필자
김광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