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성인(聖人)이 출현하거나 어떤 길조가 있을 때 나타난다는 사령수(四靈獸)로, 불교에서는 사천왕(四天王)의 한 종류로 되어 있다. 기린은 살아 있는 풀을 밟지 않고 생물을 먹지 않는 어진 짐승으로 사슴의 몸, 소의 꼬리, 이리의 이마, 말의 다리에, 머리에는 녹각(鹿角) 같은 살로 된 뿔 하나가 나 있다는 상상의 신령한 짐승으로 전해 오고 있다.
용은 뱀과 같은 비늘몸에 사슴의 뿔과 귀신의 눈, 소의 귀를 하고 깊은 못이나 바다에 살며 자유로이 공중을 날아 구름과 비바람을 모는 조화를 지녔다는 짐승이다. 봉황도 닭의 머리, 뱀의 목, 제비의 턱, 거북의 등, 물고기의 꼬리를 갖추고 몸과 날개는 오색(五色)의 찬란한 빛을 내며 오음(五音)의 소리를 낸다는 큰 새로 수컷인 봉과 암컷인 황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거북 또한 고대부터 장수와 상서(祥瑞)를 상징하는 영물(靈物)로 여겨지고 있다.
이들은 모두 조각이나 사신도(四神圖)로서뿐만 아니라 문양으로서도 오랜 시대에 걸쳐 여러 의장형식(意匠形式)에 등장하였다. 곧 한대(漢代)의 고분벽화와 사묘(祠墓) 및 동경(銅鏡) 등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나는데, 상상적으로 등장시킨 이러한 서조(瑞鳥)·서수(瑞獸)가 천년을 사는 장수상서선금(長壽祥瑞仙禽)으로서 나라의 길흉을 미리 알려준다는 도교사상과 결부되어 성행되었다.
따라서, 묘실이나 사당·궁전 등에 조각·공예뿐만 아니라 그림과 문양으로서 일월과 성수(星宿), 상서로운 구름 및 천인(天人) 등과 함께 나타내어 우주관을 그려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부터 고분벽화 등에 사령무늬가 나타나며, 고려 동경(銅鏡)뿐 아니라 상형청자(象形靑瓷)에 부분적으로 보이고 있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세화(歲畫 : 새해를 축복하는 뜻의 그림)로 등장하거나 십장생(十長生)의 하나로도 포함되어 각종 공예의장의 무늬로 활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