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리회 ()

불교
의례·행사
불교에서 불사리(佛舍利)에 공물을 공양하고 그 공덕을 찬탄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 법회의식.
이칭
이칭
사리강(舍利講)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불교에서 불사리(佛舍利)에 공물을 공양하고 그 공덕을 찬탄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 법회의식.
내용

‘사리강(舍利講)’이라고도 한다. 사리는 6바라밀(六波羅蜜)을 닦은 공덕으로 생기거나, 또 계(戒)·정(定)·혜(慧)로써 훈수(熏修:오랫동안 수행함)에 의해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매우 얻기가 어렵고, 제일가는 복전(福田)이 되므로 이를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다.

사리는 전신사리(全身舍利)·쇄신사리(碎身舍利)·생신사리(生身舍利)·법신사리(法身舍利) 등의 구별이 있다. 전신사리는 다보불과 같이 전신이 그대로 사리인 것이고, 쇄신사리는 석가불의 사리와 같이 몸에서 나온 낱알로 된 것이다. 생신사리는 여래가 열반에 든 뒤 전신사리나 쇄신사리를 남겨두어 인(人)과 천(天)이 공양하게 한 것이다. 법신사리는 대소승의 일체의 불교 경전을 말한다.

후세에 와서는 화장한 뒤에 나온 작은 구슬 모양으로 된 것을 사리라고 한다. 우리나라 불교에서는 수행이 높은 고승(高僧)이 죽은 뒤 화장을 하면 사리가 나온다고 믿는 고승사리신앙(高僧舍利信仰)이 신봉되고 있다. 오늘의 사리회에서는 고승이 죽어서 사리가 나오면 이를 친견하고 예배·찬탄하는 법회를 갖는다. 사리를 옮기거나 할 경우에는 신성한 신앙의 대상이므로 사리이운의식(舍利移運儀式)을 갖게 된다. 또한 고승의 묘탑인 부도(浮屠)는 고승의 사리를 장치하는 시설이다.

의의와 평가

고승사리 부도는 선종에 의한 고승신앙과 깊은 관계가 있고 선종 중심의 한국불교에서 크게 발달하였다. 우리나라의 사리회는 선종 중심으로 성행하고 있는데 이는 한국불교의 한 특징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석문의범(釋門儀範)』
집필자
홍윤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