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성례 ()

불교
의례·행사
불교에서 아미타불의 극락정토에 왕생할 것을 발원하고 행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 예경의식.
목차
정의
불교에서 아미타불의 극락정토에 왕생할 것을 발원하고 행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 예경의식.
내용

사성은 극락정토의 아미타불·관세음보살·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일체청정대해중보살(一切淸淨大海衆菩薩)로, 이 사성을 대상으로 행하는 예경의식이므로 사성례라 한다.

이들 사성에 석가모니불을 합하면 오성례가 되고, 그 위에 지장보살(地藏菩薩)을 더하면 육성례가 된다. 이 의식의 절차는 먼저 분향하여 향게(香偈)를 독송한 뒤 아미타불 등 극락정토의 사성에게 귀의하고, 사성의 가피력을 입어 극락정토에 왕생하기를 발원한다.

이어서 상품상생진언(上品上生眞言)·원성취진언(願成就眞言)·보궐진언(補闕眞言)·보회향진언(普回向眞言) 등을 암송하여 앞에서 발원한 것들이 성취되기를 기원한다. 마지막으로 극락에 왕생하기를 발원하니 아미타불은 대자대비로써 받아들여 줄 것을 청하는 다게(茶偈)를 독송하고 의식을 끝낸다.

의의와 평가

이 의식은 우리나라 미타신앙의 특징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이 의식이 언제부터 행하여졌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고려시대에 만든 『염불요집(念佛要集)』에 같은 형식의 예경의식 절차가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부터 행하여졌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염불요집(念佛要集)』
『범음집(梵音集)』
『석문의범(釋門儀範)』
집필자
홍윤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