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시단 ()

목차
의약학
개념
태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외감으로 오는 병과 내상에서 오는 병에 쓰는 약.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태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외감으로 오는 병과 내상에서 오는 병에 쓰는 약.
내용

외감에서 오는 풍(風)·한(寒)·서(暑)·습(濕)·조(燥)·화(火) 등 육기(六氣)의 병과, 내상으로 오는 희(喜)·노(怒)·우(憂)·사(思)·비(悲)·공(恐)·경(驚) 등 칠정(七情)으로 발생하는 일체의 병, 그리고 과로 또는 음식상(飮食傷) 등에 광범위하게 응용하는 약이다.

구체적으로 적응증을 설명하면 유행성전염병을 비롯하여 감모(感冒: 풍한사나 풍열사를 받아서 생기는 병)·식체(食滯)·비만(痞滿: 가슴과 배가 답답하거나 더부룩함)·흉복통증(胸腹痛症)과 폐·기관지 병, 임질·학질·황달·소아감충(小兒疳蟲)·적백대하(赤白帶下)·몽설(夢泄)·유정(遺精)·적취(積聚)·토사(吐瀉)·곽란(霍亂) 등의 증세를 치료한다.

처방은 대황(大黃) 123.5g, 조각구(皂角灸), 황금(黃芩), 나복자(蘿葍子)·행인(杏仁)·석창포(石菖蒲)·사군자(使君子)·오미자(五味子)·서각(犀角)·관동화(款冬花)·백렴(白蘞)·승마(升麻)·백지(白芷)·천문동(天門冬)·맥문동(麥門冬)·고본(藁本)·길경(桔梗)·마황(麻黃)·포황(蒲黃)·황률(黃栗)·부평(浮萍)·제조(蠐螬)·용골(龍骨)·산약(山藥) 각 16g을 가루로 만들어 오매육(烏梅肉)으로 환약(丸藥)을 짓되 37.5g을 10개로 만들어서 한 번에 3∼6개를 따뜻한 물에 복용한다. 그러나 임신부에게는 금기(禁忌)이다.

사시단은 25가지의 약재로 구성되었으며, 대부분이 태음인의 약재로서 만병통치에 가까운 처방이다.

참고문헌

『사상방약합편(四象方藥合編)』(권영식, 행림서원, 1974)
『사상진료의전(四象診療醫典)』(이태호, 행림서원, 194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