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안총 ()

목차
관련 정보
삼안총
삼안총
과학기술
유물
문화재
1593년 제작된 유통식 휴대용 화기(火器).
정의
1593년 제작된 유통식 휴대용 화기(火器).
개설

198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일명 ‘삼혈총(三穴銃)’이라고도 칭한다. 그 구조는 단일병부(單一柄部)에 통신을 세모꼴로 연결한 것, 또는 단일포가에 통신을 횡선으로 연결한 것 등으로 구분되며, 인마살상을 주목적으로 사용하는 외에 신호용 등으로도 사용하였다.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이 총에 대해 인조 때 이서(李曙)가 지은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에 의하면, “총신마다 소약선(小藥線) 3치, 화약 3돈, 토격(土隔) 2푼, 철환 1개를 사용한다”고 하였고, 또한 채용신(蔡龍臣)이 그린 「대한제국동가도」에 의하면, 행렬 최선두에서 전립(戰笠)에 호의(號衣)차림을 한 기병이 삼안총을 높이 들고 행진하는 모습이 보인다.

이 삼안총은 청동제로서 총길이 38.2㎝, 통신길이 26㎝, 병부길이 12.2㎝, 구경 1.3㎝로 총구에서 약실에 이르기까지 연결된 상태에서 점차 후하게 한 병부에 연결하고, 병부는 약실쪽에서 단면을 이루며 원통으로 점차 후해지다가 대선을 이루며 마무리된다.

병부에는 ‘萬曆癸巳十二月日造重五斤七兩每穴藥六錢鐵丸二匠全信金(만력계사12월일조중5근7냥매혈약6전철환2장전신금)’이라는 명문이 음각되어 있는데, 만력계사란 명나라 신종 21년으로 서력으로 1593년(선조 26년)을 가리킨다.

삼안총의 무게는 5근 7냥이며, 총신마다 화약은 6돈이고, 철환은 2개, 화포장은 전신금이라 하여 제작연대와 화약과 실탄의 용량, 그리고 제작자 등을 알 수 있도록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우리나라에서 명문이 확실히 명기된 삼안총으로는 최고에 속하는 국방과학기술문화재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
『한국의 화포』(이강칠, 군사박물관, 1977)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강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