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삼천사지 마애여래 입상 (서울 )

서울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서울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조각
유적
문화재
서울특별시 은평구 삼천사터에 있는 고려전기 에 조성된 높이 2.6m의 마애불. 보물.
정의
서울특별시 은평구 삼천사터에 있는 고려전기 에 조성된 높이 2.6m의 마애불. 보물.
개설

197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삼천사는 현대에 와서 복원되었으며, 이 불상은 원래 삼천사의 옛터로 오르는 입구에 솟은 병풍 바위에 서남쪽을 바라보게 새겨진 마애불이다.

내용 및 특징

마애여래입상은 편편한 바위 면에 얕게 부조되어 있고 그 융기선을 따라 금분을 칠하여 화려한 느낌을 주며 입체감이 없는 편이다. 삼천사지 불상이 새겨진 바위 위에는 커다란 바위가 얹어져 있다. 불상의 좌우에 네모난 가구공(架構孔)이 남아 있어 옛날에는 불상을 보호하고 예배했던 목조 건축물이 세워져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얼굴은 얕게 부조되었고 광배와 신체의 옷주름 선은 융기선으로 양각하여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정수리 부분에 상투 모양의 머리(肉髻)가 큼직하게 솟아 있으며, 얼굴은 온화하면서 자애로운 불격이 느껴진다. 상체는 어깨가 벌어져 건장한 모습인데 ‘U’자형으로 넓게 트인 가슴 사이로 띠 모양의 승각기 표현과 나비 리본 형태의 군의의 띠매듭이 나타나 있다. 장대하면서도 늘씬한 신체에 옷은 양어깨에 걸쳐 입고 있다. 왼팔에는 겨드랑이 사이로 물결 모양의 옷 주름을 촘촘하게 새긴 반면 오른팔에는 성기게 표현하여 두 팔의 구조와 짜임새 있는 조화를 이루고 있다. 오른손은 손가락을 곧게 펴서 옷자락을 살짝 잡았고 왼손은 배 앞에 들어 손바닥을 구부렸으나 들고 있는 물건은 표현되지 않았다. 광배는 두 줄의 융기선을 이용해 머리 광배와 몸 광배를 구분했으며 몸 광배는 신체 윤곽을 따라 표현했다.

의의와 평가

삼천사지의 대지국사비명에 의하면 삼천사는 고려시대에 융성했던 법상종 계열의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대지국사는 법경(法鏡)을 일컬는다. 법경은 삼천사의 주지이자 왕사가 되었고, 이후 개경의 현화사(玄化寺)의 초대 주지가 된 인물이다. 현종(顯宗)은 1018년에 모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개경에 현화사(玄化寺)를 세웠는데 삼천사의 법경에게 초대 주지를 맡겼다는 것에서 당시의 삼천사의 위상을 알 수 있다. 삼천사지마애여래입상은 근엄해진 얼굴 표현이나 양감이 없는 밋밋한 신체 표현, 형식화된 옷 주름 표현 등에서 이와 비슷한 시기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서울의 전통사찰』(사찰문화연구원, 사찰문화연구원출판국, 1994)
『삼천사지』(서울역사박물관, 1994)
「고려중기 法相宗 사원의 불교조각」(최성은, 『美術資料』94, 국립중앙박물관, 2018)
문화재청(www.ocp.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분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