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 운흥사 목조 아미타불 좌상 및 복장유물 ( )

운흥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및 복장유물 / 목조아미타불좌상
운흥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및 복장유물 / 목조아미타불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운흥사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목조아미타불좌상과 그 복장유물.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운흥사목조아미타불좌상및복장유물(雲興寺木造阿彌陀佛坐像및腹藏遺物)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지정기관
강원특별자치도
종목
강원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1년 12월 29일 지정)
소재지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오대산로 176 (진부면, 월정사성보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운흥사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목조아미타불좌상과 그 복장유물.
개설

2001년 강원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불상은 높이 43.3㎝. 월정사 성보박물관 소장. 삼척시 근덕면 동막리 운흥사(雲興寺)에 있던 불상으로, 1994년에 평창 월정사 성보박물관으로 옮겼다. 운흥사는 1821년(순조 21)에 운흥사는 신흥사로 사찰명이 바뀌었다. 목조아미타불좌상에서는 1791년에 개금 때 넣었던 복장물이 발견되었다.

내용 및 특징

운흥사 목조아미타불좌상은 높이 43.3㎝의 중형불상으로, 안정감 있는 신체 비례를 지닌 단정한 모습이다. 머리는 둥글며 나발은 큰 편인데 듬성듬성 떨어져 있으며 부분적으로 금이 박락되어 있다. 또 머리에 정상계주와 반달형의 중앙계주가 있으나 중앙계주에만 붉은 칠을 하였다. 이마가 옆으로 넓고 상하로 짧은 네모진 얼굴에 짧은 코, 밖으로 휘어진 귀가 특징적이다.

두꺼운 대의 안쪽에 편삼을 입고, 가슴에 접혀진 승각기의 옷주름은 세 가닥으로 접혀있으며 배 앞에서 모아진 옷주름은 대칭으로 표현되었다. 수인(手印)은 아미타불의 설법인(說法印)을 결하고 있다. 즉 오른손을 어깨까지 들어 올려 손바닥을 앞으로 향한 채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으며, 왼손도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는데 손바닥은 위로 향하여 있다.

아미타불에서 발견된 복장유물은 개금 때의 원문을 비롯해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1책, 후령통 등이 발견되었다. 개금 원문에 의하면이 불상은 아미타불이고 1791년(정조 15) 태백산(太白山) 운흥사 반야암에서 홍안(弘眼), 신겸(信謙) 등이 개금하여 큰 절에 봉안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불상은 둥근 머리와 얼굴, 그리고 착의법, 신체 비례 등에서 1700년 전후로 제작되었다고 유추된다.

의의와 평가

운흥사 목조아미타불좌상은 1700년 전후에 제작된 불상의 양식적 특징을 갖추고 있으며,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그리고 개금발원문을 통해 대략의 조성 시기와 개금했을 당시 신겸 등 당시의 유명한 화승(畵僧)이 참여했음을 알 수 있어 조선후기 불교조각사 연구에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회화(안귀숙·최선일,양사재,2009)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조소(최선일,양사재,2007)
『월정사성보박물관 도록』(월정사성보박물관, 2002)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분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