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관전보좌후장무일도상 ()

목차
한문학
작품
고려 중기에 김인경(金仁鏡)이 지은 한시.
목차
정의
고려 중기에 김인경(金仁鏡)이 지은 한시.
내용

고려 중기에 김인경(金仁鏡)이 지은 한시. 오언절구로 대관전 보좌 뒤 가리개에 그려진 무일도 위에 씌어졌던 작품이다. 약칭 ‘서보좌후장상(書黼座後障上)’으로도 알려져 있다.‘무일(無逸)’이란 안일에 흐르지 않아야 함을 뜻하며, 이는 임금을 경계한 말이다.

최자(崔滋)가 그를 평하여 “글을 쓸 때는 반드시 청신하게 쓰려고 하였으므로, 한편이 나올 때마다 세상을 놀라게 했다(凡使字必欲淸新, 故每出一篇動驚時俗).”라고 한 것으로 보아 ‘청신’이 그의 시의 특징이라 하겠다. 칠언절구인 「내직(內直)」과 함께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명편이다. 원시는 다음과 같다.

정원의 꽃들은 비단보다 붉고,

대궐의 버들은 실날보다 푸르네,

목구멍과 혀는 온갖 기교 다 부리지만,

봄 꾀꼬리가 도리어 사람보바 뛰어나도다.

(園花紅錦繡 宮柳碧絲綸

喉舌千般巧 春鸚却勝人).

‘금수(錦繡)’와 ‘사륜(絲綸)’은 임금을 상징하는 것이며, ‘후설(喉舌)’은 후설지지(喉舌之地)를 지칭한 것으로, 승정원을 경계하는 우의(寓意)가 담겨져 있다.

참고문헌

『보한집(補閑集)』
「고려시대의 한시연구」(민병수,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84)
집필자
민병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