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10월 우리나라 정부와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재단법인 정수직업훈련원으로 발족하여, 1983년 3월 18일 한국직업훈련관리공단 정수직업훈련원으로 개칭되었으며, 994년 7월 15일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지금의 한국산업인력공단) 정수직업전문학교로 개칭되었고, 1996년 정수기능대학으로 승격되었다.
1973년부터 1995년 말까지, 즉 정수기능대학으로 승격되기 전까지는 중학교 및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상급학교에 진학하지 못하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기능사 2급의 정규 1년 과정에서 8,942명과, 기능사 1급의 향상 과정에서 1,522명 등 총 1만 464명을 양성하였다.
1996년 1월 1일 정수기능대학으로 승격되어 산업학사학위 과정인 다기능기술자 과정을 전산응용기계과 · 산업설비과 · 전기과의 3개 학과부터 개설하여 운영하였으며, 1998년 2월 학교법인 한국능력개발학원 서울정수기능대학으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99년 현재 제2회 산업학사학위 수여를 통하여 다기능기술자 과정 399명과 기능장 과정 62명을 배출하였다.
교육기간이 2년인 산업학사학위 과정인 다기능기술자 과정은 제품의 개발에서 제작에 이르는 전 공정에서 생산성 향상과 기술적인 문제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인력 양성을 교육목표로 하여 건축설비자동학과 · 전산응용기계과 · 생산자동학과 · 카일렉트로닉스과 · 전기과 · 전자과 · 정보통신설비과 · 시각디자인과 · 인쇄매체과의 9개 학과를 개설하여 1, 2학년 주간 630명, 야간 450명이 교육받았다.
또한, 최고의 숙련기능과 생산관리법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여 작업관리와 기능인지도, 감독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생산현장의 중간관리자 양성을 교육목표로 야간 1년의 자동차정비 기능장 과정도 개설하여 운영하였다.
1999년 5월 1일에는 서울시립기능대학(1990년 7월 서울특별시립 청소년직업훈련원 개원, 1998년 3월 27일 서울시립기능대학 개교)을 서울시로부터 이관받아 서울정수기능대학 강서캠퍼스로 개교하여 운영하였다. 2006년 서울정수기능대학은 다른 기능대학과 통합되어 한국폴리텍 1대학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