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인장 ()

목차
관련 정보
선인장꽃
선인장꽃
식물
생물
선인장과에 속하는 육질 다년생 초본식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선인장과에 속하는 육질 다년생 초본식물.
내용

학명은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이다. 열대산 식물로 높이가 2m에 달하고 편평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있다. 경절(莖節)은 짙은 녹색이고 긴 타원형 또는 긴 도란형이다. 표면에 길이 1∼3㎝의 가시가 2∼5개씩 돋아 있다.

잎은 작은 침형(針形)이고 일찍 떨어진다. 여름철에 경절 윗가장자리에서 황색의 꽃이 핀다. 열매는 서양배같은 모양이고 많은 종자가 들어 있으며 먹을 수 있다. 제주도에서 자생하고 있는데, 그 밖의 지역에서는 실내에서 관상용으로 기른다.

선인장과에 속하는 식물은 전 세계에 2,000종 내외가 있으며 나무선인장류·선인장류·흰털선인장류의 3군으로 크게 나눈다. 줄기는 해열·행기(行氣)·건위(健胃)·진해(鎭咳)·활혈(活血)·소종(消腫)의 효능이 있어 한방에서는 약재로 이용한다.

약성은 한(寒)하고 고(苦)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위심기통(胃心氣痛), 위나 십이지장의 궤양, 해수·폐기종·인후염·유선염·유행성시선염·옹종(癰腫) 등의 치료제로 쓰인다.

참고문헌

『대한식물도감』(이창복, 향문사, 1982)
『원색천연약물대사전』(금재길, 남산당, 1984)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