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창곡동 유적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조선후기 백자 명기가 출토된 회곽무덤. 회곽묘.
목차
정의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조선후기 백자 명기가 출토된 회곽무덤. 회곽묘.
내용

현지 주민의 긴급신고를 받고 1971년 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 조사하였다. 주위에는 석인을 갖춘 완전한 봉토분 등 상당수의 조선시대의 무덤들이 있었으나 토사의 유실로 노출된 회곽무덤 1기만이 조사되었다.

적갈색의 사질점토와 부식된 화강암반을 수직으로 파들어간 토광 속에는 삼물회(三物灰)로 이루어진 길이 2.3m, 너비 1.1m, 높이 1.1m 되는 남북장축의 회곽이 만들어지고 그 안에서는 부식된 널[木棺]조각과 약간의 인골이 수습되었다.

토광 동쪽벽면의 중앙을 파고 설치한 네모난 작은 감실(龕室)에는 사발로 뚜껑을 씌운 백자 항아리(높이 13㎝) 1점과 함께 작은 백자 명기(明器) 15종 34점이 가지런히 놓여 있었다.

이들 명기들은 잔·접시·사발·항아리 등 그릇모양으로 만들어진 것과 사람모양의 여우(女偶) 2점과 남우(男偶) 3점인데 이 도용(陶俑)들은 모두 양팔을 앞으로 모아 팔짱을 낀 모습이고 눈과 눈썹, 머리부분에 철사(鐵砂)를 칠하여 검붉게 색감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부장방식은 조선시대의 묘제에서는 다소 특이한 것으로서 선사시대 이후 널이나 덧널[棺槨] 속에 안치되어오던 전통적인 부장방법에서 벗어난 새로운 형태의 자료라 할 수 있다. 출토된 백자 명기의 성격으로 미루어 무덤의 축조시기는 대략 조선 중엽인 16, 17세기경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광주창곡리 이조분묘와 부장품」(지건길, 『고고미술』111, 1971)
집필자
지건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