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

목차
유교
개념
천성과 천명을 합해 설명하는 유교이론.
목차
정의
천성과 천명을 합해 설명하는 유교이론.
내용

중국에 있어서 천(天)은 처음에는 초월적인 인격신이었으나 시대가 흐름에 따라 천의 인격성은 희박하게 되었고 그것이 인간에 내재해서 천성으로 되었다. 그러나 천은 그 뒤에도 계속 본래의 초월적인 면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인간을 밖에서부터 지배하는 천명 혹은 운명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성명이란 것은 내외 양면으로부터 천의 규제를 받는 인간 존재를 가리킨다. 후세에 성명을 생명이라고 쓰는 것은 이 사실에 근거한다. 성과 명은 별개의 것으로 따로 떨어져 문제시되는 경우가 많으나, 두 가지를 합해 성명이라는 숙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장자(莊子)』 외편(外篇)과 잡편(雜篇)이다. 이 경우 성과 명의 의미 내용의 구별은 소실되고 공통적으로 천에서 부여된 인간의 본질적인 것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성과 명 두 가지의 관계에 대해 독창적인 견해를 보인 것은 후한(後漢)의 왕충(王充)이다. 성과 명이 함께 쓰이지 않고 별개로 쓰이어 그 의미를 나타낼 때는 보통 각각의 독특한 의미를 지닌다.

『중용』에서 “하늘이 인간에게 명한 것을 성이라고 한다(天命之謂性)”는 것에서의 성은 천명의 관점에서 말한 것으로서, 이것은 유가(儒家)의 형이상학적 우주론과 본체론을 보여 주는 것이며, 『주역』과 『중용』이 대표적인 것이다.

『주역』의 “궁리진성함으로써 명에 이른다(窮理盡性以至於命)”는 것은 심(心)의 측면을 강조한 것으로서 유가 심성론(心性論) 계통을 보여 주며, 『맹자』가 그 대표적인 것이다.

정이(程頤)는 “하늘에 있어서는 명(命)이라 하고, 사람에 있어서는 성이라 한다”고 하고, “하늘이 부여한 바가 명이 되며 물(物)이 받은 바가 성이 된다”고도 하였다. 주희는 사람과 물이 태어날 때 각각 하늘이 부여한 바의 이(理)를 얻은 것이 성이라고 하였다.

참고문헌

『율곡집(栗谷集)』
『주역(周易)』
『중용(中庸)』
집필자
김익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