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천지 ()

목차
관련 정보
성천지
성천지
인문지리
문헌
성천부사 서재순 등이 평안도 성천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42년에 편찬한 읍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성천지』는 성천부사 서재순 등이 평안도 성천의 연혁·인문지리·행정 등을 수록하여 1842년에 편찬한 읍지이다. 2권 속 4권 합 2책으로 필사본이다. 1603년(선조 36)에 부사 이상의 『성천지』를, 1656년(효종 7) 이동로가 『성천속지』를 만들었으나 간행되지 못했다. 이에 1842년에 부사 서재순이 완성했다. 이 읍지는 제1책 『성천지』, 제2책 『성천속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읍지에는 초기에 제작된 『성천지』의 내용이 ‘구지’로 수록되어 있어 양 시기의 성천 지방의 실정과 읍지 편찬의 양식 및 목적을 연구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목차
정의
성천부사 서재순 등이 평안도 성천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42년에 편찬한 읍지.
내용

2권 속 4권 합 2책. 필사본. 성천에는 1603년(선조 36)에 부사 이상의(李尙毅)가 만든 『성천지(成川志)』(舊志)가 있다.

1656년(효종 7) 이동로(李東老)가 『성천속지(成川續志)』를 만들었으나 두 책 모두 간행되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1842년에 부사 서재순(徐載淳)이 유사들과 더불어 완성을 본 것이 이 읍지이다.

이 읍지는 제1책이 『성천지(成川志)』, 제2책이 『성천속지(成川續志)』로 구성되어 있다. 제1책의 책머리에는 성천폭원총도(成川幅員總圖) · 성천관부도(成川官府圖) · 성천강선루도(成川降仙樓圖) 및 향교에 소장된 교재서책(校在書冊) 목록, 성천지 목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제1책의 내용은 1권의 강역(疆域)으로 사경(四境) · 연혁(沿革) · 성지(城池) · 부방(部坊) · 군명(郡名) · 풍속(風俗) · 형승(形勝) · 산천(山川) · 누대정사(樓臺亭榭) · 사우(祠宇) · 공서(公署) · 학교(學校) · 직역(職役) · 교량(橋梁) · 토산(土産) · 음악(音樂) · 원우(院宇) · 불우(佛宇) · 호구(戶口) · 인물(人物) · 효열(孝烈) · 연방(蓮榜) · 급제문과(及第文科) · 고적(古蹟) · 잡지(雜志) · 치적(治蹟) 등과 2권의 시문(詩文)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항목마다 편목 설정의 이유를 기록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전반적으로 내용이 매우 상세하다. 1권의 고적 · 공서 · 잡지조 등과 2권의 시문이 특히 상세하다.

성천 지역이 고구려의 졸본부여(卒本扶餘)라 하여 그에 관한 고적 · 시문이 풍부하다. 시문조에는 이규보「동명왕편(東明王編)」을 비롯하여 많은 시 · 문(文) · 기(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제2책 『성천속지』에는 박처각(朴處恪)의 서문(1842년)과 범례 · 목록이 서두에 있다.

총 4권으로 권1에 강역 · 사경 · 성지 · 부방 · 호구 · 풍속 · 산천 · 토산 · 형승 · 영애(嶺阨) · 도로 · 교량 · 원정(院亭) · 공서 · 사우 · 불우 · 정대(亭臺) · 청사(廳舍) · 창고 · 전답(田畓, 附收租所) · 환곡(還穀, 附司倉) · 병제(兵制, 附軍政所) · 부역(賦役, 附該所) · 악기(樂器, 附敎房), 권2에 군명 · 연혁 · 환적(宦蹟) · 인물 · 씨족 · 효열 · 행의(行義) · 문과 · 사마 · 무직 · 서사(筮仕仕) · 도로 · 늠료(廩料) · 의절(儀節) · 영송(迎送) · 대빈(待賓), 권3에 시(詩), 권4에 기문(記文) 등이 실려 있다.

속지에는 구지(舊志)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 “구지에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라고 표시하고 변동된 사항만 보충, 증보하였다. 구지와 비교할 때 주목되는 것은 읍의 경제적인 내용 및 인물조의 내용이 강화된 점이다.

특히 부방조에는 각 방(坊)별로 토지의 비척, 알맞은 곡종, 소속 이수(里數)와 명칭, 풍헌(風憲) · 약정(約正) · 존위(尊位)의 수 등 각 방의 특징을 기재하였다.

창고조에는 대동고(大同庫) · 보민고(補民庫) 등 약 30개 창고에 읍의 재정에 관계된 사례적인 내용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책 끝에는 장보유사(章甫有司) 박처각 외 20명, 재임(齋任) 박노옥(朴魯玉) 외 9명 등 읍지 편찬에 참여한 인물들의 명단이 실려 있다.

이 읍지는 『평양지(平壤志)』와 함께 평안도에서 초기에 만들어진 읍지인 『성천지』의 내용이 ‘구지’로 수록되어 있어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구지’와 ‘속지’의 내용이 풍부하고 상세하여 양 시기의 성천 지방의 실정과 읍지 편찬의 양식 및 목적을 연구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이 밖에도 1899년 경에 편찬된 책으로 이 읍지의 초록본(抄錄本)인 『성천읍지』, 일제 때 제1책 부분을 필사한 『성천군읍지』 등이 있다.

참고문헌

『관서읍지(關西邑誌)』
『성천읍지(成川邑誌)』
『성천군읍지(成川郡邑誌)』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