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회심곡 ()

악부 / 속회심곡
악부 / 속회심곡
고전시가
작품
조선 중기에 휴정(休靜)이 지은 불교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휴정(休靜)이 지은 불교가사.
구성 및 형식

「회심곡」에서 파생된 불교가사로, 『악부(樂府)』에 304구의 「특별회심곡」과 함께 실려 있는데, 죽은 뒤의 장면을 자상하게 노래하여 모두 476구로 늘어났다.

내용 및 평가

첫 구절인 “쳔디지의 분한 후에 삼라만상 니러ᄂᆞ니”는 「회심곡」과 같이 시작되지만 셋째구부터는 “세상쳔지 만물쥬ᇰ의 사람밧게 ᄯᅩ 잇ᄂᆞᆫ가.”라고 해서 「별회심곡」과 「특별회심곡」의 서두와 같은 내용으로 이어져 있다.

세상천지 만물 중에 사람이 가장 귀한 존재이니 석가여래의 공덕이 크며, 인간이 태어날 때 어머님께 살을 빌리고 아버님께 뼈를 타고, 제석님께 복을 받고, 산신님께 점지받아 석가여래가 제도해서 인간세상 밖으로 나왔으니 부모은혜가 망극하고 양육은덕을 갚을 길이 없다는 내용이다. 이 가사작품은 회심곡류에서 가장 장편이다.

참고문헌

『한국불교가사전집』(이상보, 집문당, 1980)
「불교가사(佛敎歌辭)의 연구(硏究) 상(上)」(이상보, 『국어국문학논문집』 7·8집, 동국대학교, 1969)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