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송사동 소태나무 ( 소태나무)

목차
관련 정보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
식물
생물
국가유산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송사리에 있는 소태나무.
국가자연유산
지정 명칭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安東 松仕洞 소태나무)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문화역사기념물/민속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천연기념물(1966년 01월 13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송사시장길 104 (길안면, 길안초등학교길송분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송사리에 있는 소태나무.
내용

1966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수령은 미상이다. 높이 20m로서 같은 나무 중에서 가장 크고, 지면부의 둘레는 4.65m이며 두개로 갈라졌다. 가슴높이둘레는 각각 3.1m와 2.1m이다. 내피(內皮)가 매우 쓴 까닭에 쓴맛을 “소태같이 쓰다.”고 하는 말이 나왔다.

수세는 싱싱해 보이지만 윗부분에는 딱다구리가 뚫은 구멍이 10여개 보인다. 송길초등학교 뒤뜰에 있으며, 회화나무·느티나무 및 팽나무 등과 함께 자라고 있는데, 성황림으로 보존하여 왔으므로 이렇게 크게 자란 것이다.

소태나무의 껍질은 농촌에서 한때 중요한 섬유자원의 하나였기 때문에 산지에서 자라는 것은 수피를 채취하는 바람에 커다란 나무가 없어졌으나 여기에서 자라는 것은 손을 대지 못하였다.

한방(韓方)에서는 이 나무를 고목(苦木)이라 하여 고미건위제(苦味健胃劑 : 위를 튼튼하게 하는 쓴맛의 약제)로 사용하였고, 호프 대신 맥주의 쓴맛을 내는 데도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천연기념물편-』(문화재관리국, 1993)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