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호 회화나무 ( 회화나무)

목차
식물
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남포직할시 천리마구역 강철동에 있는 회화나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남포직할시 천리마구역 강철동에 있는 회화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58호. 회화나무는 강선역에서 서남쪽으로 약 3㎞ 정도 떨어진 송호마을 서남쪽의 낮은 언덕에 있다. 서쪽과 남쪽으로는 송호논벌이 펼쳐져 있고 동남쪽으로는 남포로 나가는 고속도로와 대동강이 있다.

회화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석회질 퇴적암지대에 생긴 산림밤색 토양이고 질메흙이며 습기는 적은편이다. 이 지대의 연평균 기온은 9.7℃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905.1㎜이다.

나무는 1640년경에 심은 것으로 보고 있다. 나무는 높이 12m, 뿌리목 둘레 4.4m, 가슴높이 둘레 4.1m, 수관은 동서 21m, 남북 16m이다. 나무는 2.6m 높이에서 4개의 가지가 갈라졌는데 가운데 원대는 6m 높이에서 잘라졌다. 나무가 늙었으므로 열매도 적게 달린다.

이곳 주민들은 오랫동안 같이 자라온 이 나무를 자랑으로 여기면서 특별히 보호하고 있다. 즉, 영양관리와 줄기 보호에 힘을 쏟아 나무 세력을 도와주며 나무가 오래 살아남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