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군읍지 ()

목차
관련 정보
수원군읍지
수원군읍지
인문지리
문헌
경기도 수원군(현 수원시)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읍지.
목차
정의
경기도 수원군(현 수원시)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읍지.
내용

1책. 사본. 내용 구성은 폭원(幅圓)·건치역혁(建置沿革)·읍명(邑名)·읍치(邑治)·방리(防里)·호총(戶摠)·결총(結摠)·성곽(城郭)·산천(山川)·산성(山城)·진도(津渡)·도서(島嶼)·필로(蹕路)·교량(橋梁)·봉수(烽燧)·제언(堤堰)·둔전(屯田)·역우(驛郵)·능원(陵園)·전우(殿宇)·행궁(行宮)·관해(官廨)·단묘(壇廟)·사원(祠院)·형승(形勝)·누대(樓臺)·지당(池塘)·각창(各倉)·장시(場市)·사찰(寺刹)·성씨(姓氏)·인물(人物)·충신(忠臣)·효자(孝子)·효부(孝婦)·열녀(烈女)·고적(古蹟)·풍속(風俗)·물산(物産)·부세(賦稅)·관직(官職)·원역(員役)·군총(軍摠)·관찰부(觀察府)·지방대(地方隊)·우체사(郵遞司)·소학교(小學校)·지방영(地方營)·부사선생(府使先生)·영선생(營先生)·읍선생(邑先生)·관찰사선생(觀察使先生)·판관선생(判官先生)·군수선생(郡守先生) 등으로 되어 있다.

특기할 사항은 성곽조에 성곽의 규모·부속여장(附屬女墻)·대문(大門)·적대(敵臺)·옹성(甕城)·소문(小門)·암문(暗門)·수문(水門)·장대(將臺)·공심돈(空心墩)·각루(角樓)·포루(砲樓)·포루(鋪樓)·봉돈(烽墩)과 치(雉)의 명칭을 열거하고 위치 및 건치연대를 부기한 점과, 선생안에 부사선생 190명, 유수선생 83명, 관찰사선생 2명, 판관선생 64명, 군수선생 6명의 명단을 열거한 점이다.

부록된 ≪화성지 華城志≫ 속편에는 성곽과 부내(府內)의 중요 건물에 걸려 있는 각국 편액명을 건물별로 열거하고 상량문(上樑文)을 수록하였다.

상량문이 수록된 중요 건물은 다음과 같다. 장안문(長安門)·화홍문(華虹門)·방화수류정(訪花隨柳亭)·동장대(東將臺)·창룡문(蒼龍門)·팔달문(八達門)·서장대(西將臺)·화서문(花西門)·신풍루(新豊樓)·노래당(老來堂)·강무당(講武堂)·복내당(福內堂)·항미정(抗眉亭) 등이다. 장서각도서에 있다.

이 밖에도 1899년에 편찬된 ≪수원군읍지≫ 1책과 연대 미상의 ≪수원부읍지 水原府邑誌≫ 1책, 그리고 1899년에 편찬된 ≪수원부읍지≫ 2책이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수원부읍지(水原府邑誌)』
『수원군읍지(水原郡邑誌)』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전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