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복은 승려가 입는 의복이다. 삼국시대 중엽부터 고려 말까지 천 년 동안 중국의 흑장삼과 붉은 가사를 받아들였다. 고려 시대의 주된 승복은 가사와 편삼이었고 복색 제한을 하였다. 조선 세종 때에는 승려의 의복에 흑색 사용을 금한다는 금령이 있었다. 이는 승복의 전통이 되어 현재에도 이어지고 있다. 현대의 승복은 예식복·수도복·잡복으로 구분하여 착용한다. 승려들은 평복으로 저고리 대신 동방의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장삼은 법복으로 착용하는데 그 형태는 차이가 많다. 가사는 종파와 승단의 법계에 따라 종류·색·형태를 달리한다.
승의(僧衣) 또는 법의(法衣)라고도 한다. 원래 부처님은 가사(袈裟)를 제정하여 승복의 기본으로 삼았다고 한다. 그 뒤 인도에서는 가사를 사계절의 평상복으로 착용하였는데, 중국에 전래되어서는 기후와 의습속(衣習俗)의 차이에 따라 상의로써 편삼(偏衫, 褊衫) 위에 걸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중엽 이후부터 고려 말까지 약 1,000년 동안 중국의 흑장삼과 붉은 가사를 받아들여 전통적인 우리 옷 위에 착용하였다. 『삼국유사』 원종흥법조(原宗興法條)에 보이는 피방포(被方袍)는 가사로 추측되는데, 이는 중국에서 건너온 옷으로 신라 의상대사(義湘大師) 이후 승통이 확립되면서 화려하게 변화되었고 계층을 이루게 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려시대 승복은 『고려사절요』 · 『고려도경(高麗圖經)』 등의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절요』에는 승려가 백삼(白衫) · 난삼(襴衫) · 피화(皮靴) · 채색모자(彩色帽子) · 입자(笠子) · 관영(冠纓)을 사용하는 것을 금하였다는 기록과, 공민왕 때 사천소감(司川少監) 우필흥(于必興)이 승복에 흑건(黑巾) · 대관(大冠)을 착용하게 하도록 건의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고려시대에는 승려복에 복색제한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려도경』에는 신분에 따른 승복이 자세히 실려 있다. 이에 기록된 승복은 다음과 같다. ① 국사복(國師服):납가사(衲袈裟) · 장수편삼(長袖偏衫) · 자상(紫裳) · 금발차하(金跋遮下) · 오혁영리(烏革鈴履)를 착용하였다. 여기서의 납가사란 누비가사이며, 장수편삼은 장삼과 비슷한 소매가 긴 승려의 웃옷으로, 이 위에 납가사를 착용하였다. 자상은 자색 계통으로 앞뒤가 분리된 중국식 치마이며, 금발차하는 종아리에 행전을 둘러 착용하는 것이다. 오혁영리는 방울이 달린 검은 가죽신을 말하는 것이다.
② 삼중화상대사복(三重和尙大師服):자황첩상(紫黃貼廂)의 복전가사(福田袈裟)에 장수편삼 · 자상을 착용하였다. 자황첩상가사는 자색 바탕의 가사로 각 조(條) 사이에 황색 선을 두른 것이다. 복전가사란 길고 짧은 방형의 조각들을 이어 만든 가사로, 그 모양이 전답을 상징하고 있다는 데서 보시공덕(布施功德)과 연결시켜 복전의라 한 것이다.
③ 대덕복(大德服):단수편삼(短袖偏衫)에 괴색(壞色) 괘의(挂衣)와 황상(黃裳)을 착용하였다. 대덕은 삼중화상보다 낮은 계급의 승려이다. 단수편삼은 소매가 짧은 승려의 편삼이고 괴색 괘의는 토황색 계통의 괘자(褂子)이다.
④ 사미비구복(沙彌比丘服):괴색 포의에 자상과 납의를 착용한다. 처음에는 토황색 계통의 베옷을 입다가, 계율을 닦아 높아지면 자의를 입고, 도를 닦아 보다 더 높아지면 납의를 입었다고 한다.
⑤ 재가화상복(在家和尙服):백저착의(白紵窄衣)에 요속조백(腰束皁帛)을 착용하였다. 재가화상은 자칭 화상이라고 하며, 일반 가정에서 처자를 거느리고 노동에 종사하는 사람이다. 이들에게는 승려의 계율이 없었고 복장도 흰 모시베로 만든 소매가 좁은 옷에 검은 비단으로 만든 허리띠를 하는 상고시대의 서민복 차림이었다.
이상과 같이 고려시대의 승복은 승려의 계층에 따라서 다양하였다. 주된 복식은 가사와 편삼이었고 안에 입는 유고(襦袴)는 우리의 풍속대로였다.
조선시대의 승복은 조선시대 초에 일본에 사여(賜與)한 목록을 보고 추정할 수 있다. 그 내용은 대홍라가사(大紅羅袈裟) 초록라(草綠羅) 장식 1건, 자라괘자(紫羅褂子) 아청라(雅靑羅) 장식 1건, 남라장삼(藍羅長衫) 1건, 흑마세포(黑麻細布) 15필, 홍세저포(紅細紵布) 15필, 백세저포(白細紵布) 15필, 자사피(紫斜皮) 승혜(僧鞋) 1쌍이다.
여기에 가사 · 장삼 · 승혜가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고려시대와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세종 때의 금령에 승려의 의복에는 흑색의 사용을 금한다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대체로 시색(緦色)을 이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색은 승복의 전통이 되어 현재에도 승려의 장삼과 평복 및 소지품에 주로 쓰이고 있다.
현대의 승복은 승의착복규(僧衣着服規)에 의하면, 입산수도의 초학자가 스승을 정하여 5계와 10계를 받으면 마니가사(摩尼袈裟), 사미계를 받으면 5조가사, 승니가 비구계나 비구니계를 받으면 하품(下品) 2장 1단의 5 · 7 · 9조가사, 250계를 받으면 중품(中品) 3장 1단의 15 · 17조가사, 정종(正宗) 및 대종사(大宗師)는 상품(上品) 4장 1단의 21 · 23 · 25조가사를 입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승복은 예식복 · 수도복 · 잡복으로 구분하여, 예식복은 유고 위에 동방의(東方衣) · 장삼 · 가사 순으로 포개어 착용하고, 수도복은 유고 위에 동방의 · 장삼 순으로 포개어 착용하며, 잡복일 경우는 주로 바지 위에 동방의만을 착용한다고 하였다. 아주 궂은 일을 할 때에는 낡은 동방의나 속복(俗服)을 착용한다고 하였다.
동방의는 주로 바지와 함께 웃저고리 대신 승려의 평복으로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장삼은 법복으로 착용하는데 그 형태는 차이가 많다. 가사는 법의로서 장삼 위에 착용하는데 이것은 종파와 승단의 법계에 따라 종류 · 색 · 형태를 달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