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왕 ()

목차
관련 정보
지장시왕도
지장시왕도
불교
개념
사후세계에서 인간들의 죄의 경중을 가리는 열 명의 심판관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목차
정의
사후세계에서 인간들의 죄의 경중을 가리는 열 명의 심판관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내용

그 열명은 ① 진광왕(秦廣王), ② 초강왕(初江王), ③ 송제왕(宋帝王), ④ 오관왕(五官王), ⑤ 염라왕(閻羅王), ⑥ 변성왕(變成王), ⑦ 태산왕(泰山王), ⑧ 평등왕(平等王), ⑨ 도시왕(都市王), ⑩ 전륜왕(轉輪王) 등이다.

불교에서는 중생은 사후에 육신을 벗어나서 자신의 전생업보(前生業報)를 심판받게 된다고 보고 있다. 즉, 죽은 날부터 49일까지를 7일 단위로 하여 자신의 미래를 결정하게 된다. 또 100일 되는 날, 소상과 대상을 당할 때마다 그 십대왕에게 차례로 선악업(善惡業)의 심판을 받는다.

이와 같은 주장은 불교의 독특한 주장이라기보다는 도교 등에서 강한 영향을 입은 것이다. 불교의 경우, 티베트지방의 라마(Lama-) 불교서인 『사자(死者)의 서(書)』라는 경전에 그 상세한 죽음의 여로가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대승불교에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다. 따라서 이 시왕사상은 민간신앙으로서 전수되어 왔다. 각 사원에 명부전(冥府殿)·시왕전(十王殿) 등이 거의 필수적으로 건립되어 있는 것이 단적인 증거이다.

즉, 시왕은 우리 민족의 고유한 내세관과 조화를 이루면서 독특한 신앙형태의 한 전형으로 이어져 온 것이다. 이에 대해서 한용운(韓龍雲)은 명부전 등의 무용론과 철폐론을 강력히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는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에서 시왕에 대한 사상이 결코 불교 고유의 신앙이 될 수 없음을 강조하였다. 오히려 무속적이며 기복적인 성향을 유발시키는 불교의 퇴보 원인이라고 규정하였다. 그는 이 시왕신앙을 칠성·산신 등의 신앙과 마찬가지로 저급한 불교문화의 형태라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시왕신앙은 교리적 엄밀성을 수반하지는 않으나 매우 설득력 있는 민간신앙으로서 우리나라 불교문화의 한 면을 이루어 왔다.

참고문헌

『십왕경(十王經)』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한용운, 회동서관, 1913)
집필자
정병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