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향교 ()

목차
관련 정보
안동향교
안동향교
유적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고려시대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고려시대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내용

고려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하였다. 1567년(명종 22)에 지금의 안동시 명륜동에 중건(重建)되었다. 그 규모가 성균관(成均館)과 동일하여 영남지방에서 가장 컸으나, 6·25전쟁 때 모두 불타 버렸고, 1983년 향교복설추진위원회가 발족되어 지금의 위치인 송천동에 터를 잡고, 『영가지(永嘉誌)』를 참고로 1986년 다시 중건되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등이 있으며,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규모는 1곽 6동이다. 6동은 정전(正殿)인 대성전과 명륜당, 유생들이 거처하며 공부하던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청아루(菁莪樓), 부엌을 뜻하는 주사(廚舍)로 구성되어 있다.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유생들의 교육에 힘써 온 기관으로, 많은 유학자들을 배양하였다. 지금까지도 안동 지역의 유학교육과 보급에 힘쓰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중국의 위대한 유학자를 배양하여 그 뜻을 기리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5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조선 후기 이래 향교는 교육 기능이 쇠퇴하고 대신 선현에 대한 제향을 통한 교화 기능을 주로 담당하였다.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하고 있다. 현재 향교의 운영은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담당하고 있다.

참고문헌

『태학지(太學志)』
『문화유적총람』(문화재관리국, 1977)
『경상북도사』(경상북도, 198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