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구 개느삼 자생지 ( 개느삼 )

목차
관련 정보
양구 개느삼 자생지
양구 개느삼 자생지
식물
지명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동면 임당리와 양구읍 한전리에 있는 개느삼 자생지.
국가자연유산
지정 명칭
양구 개느삼 자생지(楊口 개느삼 自生地)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생물과학기념물/분포학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천연기념물(1992년 12월 23일 지정)
소재지
강원 양구군 양구읍 한전리 산54번지 동면임당리산148,149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동면 임당리와 양구읍 한전리에 있는 개느삼 자생지.
내용

199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면적 1만 3200㎡. 양구읍 근처의 척박한 왕모래 땅에서 자라고 있는데, 그 중에서 양구읍의 한전리와 동면 임당리에서 자라는 것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였다.

개느삼은 콩과식물로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특산식물이다. 함경남도의 북청과 평안남도 맹산군 동면에서 자라는 것으로 알려 졌는데, 이곳 양구읍에서도 자라는 것이 확인되어 남쪽 한계선 지역에 해당된다. 척박한 모래땅에서 능히 자라지만 키가 작은 관목이므로 주변식물의 압박을 받게 되면 사라진다.

키는 1m 내외로 자라고 잎은 우상복엽(羽狀複葉: 새의 깃 모양으로 이루어진 잎몸이 두 개 이상으로 갈라진 잎)이며 소엽(小葉)은 13∼27개로서 톱니가 없다. 꽃은 5월에 피고 황색이며 총상화서에 달린다. 꼬투리 겉에는 가시 같은 잔돌기가 밀생한다. 종자와 뿌리로서 퍼져나간다. 뿌리가 옆으로 뻗으며 군데군데 새싹이 돋는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천연기념물편(문화재관리국, 1993)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