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다방동 패총 ( )

선사문화
유적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원삼국시대 후기에서 가야에 걸쳐 형성된 조개더미.
이칭
이칭
양산패총, 양산남부동패총
유적
건립 시기
원삼국시대 후기~가야
관련 국가
가야
소재지
경상남도 양산시
내용 요약

양산다방동패총은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원삼국시대 후기에서 가야에 걸쳐 형성된 조개더미이다. 양산패총이나 양산남부동패총으로 알려진 기존 명칭은 사실상 양산다방동패총과 같은 유적이므로 정식 보고서 명칭에 따라 양산다방동패총으로 명명하는 것이 적절하다. 삼국시대 후기에서 가야에 걸쳐 고지성 환호 취락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원삼국시대 후기에서 가야에 걸쳐 형성된 조개더미.
발굴경위 및 결과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 의해 조사되어 양산패총(梁山貝塚)으로 알려진 유적이다. 1964년 서울대학교, 1967년 국립중앙박물관에 의해 소규모 발굴 조사가 실시된 바 있으나 보고서가 간행되지 않아 정확한 성격 파악은 어려운 실정이었다. 1993년에야 비로소 정식 보고서가 간행되었는데, 그 내용이 천안청당동유적 보고서의 후반부에 끼어 들어가 있어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일제강점기 때의 패총 전경과 조사 모습이 유리 건판으로 남아 있다. 남부동패총으로 메모되어 있어 남부동패총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사실상 양산다방동패총(梁山多芳洞貝塚)과 같은 언덕땅에 있는 동일한 유적이다. 유적은 양산읍 남동쪽에 반도처럼 돌출한 표고 150m 내외의 언덕땅에 형성되어 있다.

주목해야 할 조사 성과는 환호(環濠)의 발견인데, 고지성 취락의 존재를 가늠케 한다. 그러나 보고서가 제때 간행되지 못하면서 그 성과가 빛을 발하지 못하게 되었다. 보고된 내용이 빈약하여 유적의 전모를 알기 어렵지만, 최근 '가야유적 국가지정문화재 승격 지원사업'의 대상 유적으로 선정되면서 경상남도와 양산시가 시 ·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추가로 환호가 확인되었으며, 환호 내부에서도 원형 주거지와 고상 건물지 등이 확인되었다. 언덕의 비탈면에서는 참굴과 백합 등의 조개껍데기가 두껍게 퇴적된 조개더미가 확인되었다.

형태와 특징

환호의 내부에서는 크고 작은 주1이 열을 띠면서 다수 확인되어 주2이나 주3) 등의 방어 시설이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조개더미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주로 토기류가 다수를 차지하는데, 주4를 비롯하여, 주5 · 주6 등이 출토되었다. 그 외에도 화살촉 · 바늘 · 칼손잡이 등 소량의 철기와 주7, 석기 및 자연 유물 등이 있다.

의의 및 평가

2020~2021년에 실시한 시 · 발굴 조사를 통해 언덕 전체에 유적이 형성되어 있음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환호를 비롯한 주거지, 고상 건물지 등 다수의 유구, 조개더미가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종합적인 생활유적으로 볼 수 있다. 향후 양산다방동패총보다는 양산다방동유적, 혹은 양산다방동취락유적으로 명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참고문헌

기타 자료

「양산 다방동 패총 시굴 및 발굴조사 약식보고서」(경남연구원 역사문화센터, 2021)
「梁山 多芳里貝塚 發掘調査報告」(국립중앙박물관, 1993)
주석
주1

움집터의 바닥 같은 데에 기둥을 세우기 위하여 파 놓은 구멍.    우리말샘

주2

말뚝 따위를 죽 잇따라 박아 만든 울타리. 또는 잇따라 박은 말뚝.    우리말샘

주3

적이나 주위의 동정을 살피기 위하여 높이 지은 다락집.    우리말샘

주4

대기에 노출된 상태에서 산화염으로 구워져 붉은 색깔을 띠고 있는 토기. 원시 시대와 삼국 시대의 유물이다.    우리말샘

주5

실내 가마에서 민무늬 토기보다 약간 높은 900℃ 정도의 고온으로 구워 기와처럼 회색을 띠는 약간 무른 토기.    우리말샘

주6

진흙으로 만든 그릇. 환원(還元) 상태에서 구운, 치밀하고 단단한 질그릇으로 회색 또는 검은색이다.    우리말샘

주7

석기 시대에, 동물의 뼈ㆍ뿔ㆍ이빨 따위로 만든 도구나 장신구. 도끼, 창, 활고자, 낚시, 바늘, 칼, 송곳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