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잠조합 ()

목차
근대사
제도
1910년대 초에 일제가 조선을 잠업원료공급지로 개편하기 위해 만든 조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10년대 초에 일제가 조선을 잠업원료공급지로 개편하기 위해 만든 조합.
개설

19세기 후반부터 일본은 잠사를 구미(歐美)에 수출하기 시작하였다. 1900년대 초에 들어 수출고는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1911년에는 1억 3000만엔(圓)에 이르러, 잠업은 일본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로 인해 일본은 잠사원료의 원활한 확보가 절대적으로 요구되었는데, 조선의 기후와 풍토가 양잠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양잠에 필요한 노동력, 즉 부녀 잉여노동력이 풍부했기 때문에 조선을 잠사원료공급기지화하기로 하였다. 이에 조선총독부는 조선에서 양잠장려정책을 강압적으로 실시하기 시작하였고, 이를 담당할 기구를 조직하였으니, 바로 양잠조합이 그것이다.

내용

양잠조합은 조선총독부가 각 도청에 지시해 직접 설치하였다. 각 군과 도(島) 단위로 조합을 설립했고, 사무실은 군청 및 도청(島廳) 내에 두었다. 회장은 군수와 도사(島司)가, 이사는 군청과 도청에 근무하는 양잠기사가 맡았다.

조합의 설립은 점차 확대되어 1921년에는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 각 도에 설치되었다. 1925년에 이르러서는 조합수가 119개, 조합원은 41만 2730명에 이르렀다. 운영경비는 회원에 대한 부과금, 수수료 및 지방비와 보조금으로 충당하였다.

설립 직후의 사업 내용은 ① 뽕나무 묘목 · 누에씨 · 잠구(蠶具) 등의 공동구입, ② 뽕나무심기의 장려, ③ 치잠(雉蠶)의 공동사육, ④ 양잠강습회 및 전습회의 개최 등이었다. 그뒤 점차 잠견(蠶繭)의 생산이 증가하자 1916년부터 잠견의 공동판매사업도 실시하였다.

조합에서 가장 역점을 둔 사업은 뽕나무 묘목과 누에씨를 구입, 이를 농민에게 강매하는 것이었다. 이는 조선 농가를 일본의 잠사연료공급기지화하기 위한 기초작업이었다.

그러나 조선 농민들은 여기에 반발해 뽕나무는 땔감으로 사용하고, 잠종대지(蠶種臺紙 : 누에알을 받는 종이)는 선반 위에 올려놓은 채로 발아시켜 버렸다. 또한 대금을 체납하는 등의 방법으로 총독부의 정책에 따르지 않았다.

변천

잠업조합은 1926년 조선농회가 발족되면서 여기에 흡수, 통합되었다.

참고문헌

『한국농촌단체사(韓國農村團體史)』(문정창, 일주각, 1961)
『朝鮮農業發達史』-政策篇-(朝鮮農會, 193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