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명나라 때 『육과준승(六科準繩)』에서 첫 기록을 보인 이래, 우리 나라의 기록으로는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사상방(四象方)으로 변현되어 수록되어 있다.
처방 내용은 현호색(玄胡索)·당귀(當歸)·계심(桂心)·향부자(香附子)·목향(木香)을 같은 비율의 분량으로 구성하며, 복용 방법은 약재를 가루로 만들어 한번에 8g씩 생강 달인 물에 1일 3회 복용한다.
현호색은 기혈(氣血)이 응결(凝結)된 것을 풀어 주고 진통 작용을 하며, 당귀미(當歸尾)는 파혈 작용(破血作用)이 있고, 계심은 어혈을 풀고 화혈(化血)시킨다. 향부자는 행기(行氣)를 하고 여자의 경도(經度)를 조절한다. 목향은 기운이 막힌 것을 열어준다. 여신탕은 글자 그대로 요통에 신효한 처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