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신탕 ()

목차
의약학
개념
소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이 허리를 삐끗하여 생긴 요통이나, 산모가 산후에 자궁수축이 불충분하거나 어혈이 있을 때 발생되는 요통 등에 사용하는 처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소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이 허리를 삐끗하여 생긴 요통이나, 산모가 산후에 자궁수축이 불충분하거나 어혈이 있을 때 발생되는 요통 등에 사용하는 처방.
내용

중국의 명나라 때 『육과준승(六科準繩)』에서 첫 기록을 보인 이래, 우리 나라의 기록으로는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사상방(四象方)으로 변현되어 수록되어 있다.

처방 내용은 현호색(玄胡索)·당귀(當歸)·계심(桂心)·향부자(香附子)·목향(木香)을 같은 비율의 분량으로 구성하며, 복용 방법은 약재를 가루로 만들어 한번에 8g씩 생강 달인 물에 1일 3회 복용한다.

현호색은 기혈(氣血)이 응결(凝結)된 것을 풀어 주고 진통 작용을 하며, 당귀미(當歸尾)는 파혈 작용(破血作用)이 있고, 계심은 어혈을 풀고 화혈(化血)시킨다. 향부자는 행기(行氣)를 하고 여자의 경도(經度)를 조절한다. 목향은 기운이 막힌 것을 열어준다. 여신탕은 글자 그대로 요통에 신효한 처방이다.

참고문헌

『진료요감(診療要鑑)』(김정제, 동양의학연구원, 1973)
『사상방약합편(四象方藥合編)』(권영식, 행림서원, 197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