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륜 ()

목차
근대사
문헌
조선시대 국가에서 행한 의식이나 사건을 마무리 짓고서 왕이 내린 글을 수록한 어제. 윤록.
이칭
이칭
반교문(頒敎文)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국가에서 행한 의식이나 사건을 마무리 짓고서 왕이 내린 글을 수록한 어제. 윤록.
내용

필사본. 불분권 3책. 목록 제명은 『반교문(頒敎文)』. 『장서각도서한국판총목록』에는 『연륜』과 『반교문』이라는 책에 각기 다른 장서번호를 부여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같은 책이다.

반교문은 예문관에서 반포하였다. 이 책에서는 1392년 태조대왕등극반교문(太祖大王登極頒敎文)에서 1874년 원자궁수두평복반교문(元子宮水痘平復頒敎文)에 이르기까지, 조선 태조로부터 고종사이에 반포되었던 각종 반교문을 수록하였다.

제명의 윤(綸)은 황제의 조서나 명령을 의미한다. 1책에서는 등극(登極), 왕비책봉(王妃冊封), 저위탄생(儲闈誕生), 저위입학(儲闈入學), 저위관례(儲闈冠禮), 저위가례(儲闈嘉禮), 저위책봉(儲闈冊封), 환후평복(患候平復), 왕비환후평복(王妃患候平復), 두후평복(痘候平復), 진후평복(疹候平復), 2책에서는 부묘(祔廟), 추숭(追崇), 입세실(入世室), 상존호(上尊號), 칭경진하(稱慶陳賀), 3책에서는 입기사(入耆社), 수렴(垂簾), 철렴(撤簾), 청정(聽政), 정조(正朝), 법궁중건(法宮重建), 종묘이안(宗廟移安), 신궐이어(新闕移御), 환구예악(圜邱禮樂), 친경(親耕), 영흥본궁추제(永興本宮追躋), 변무(辨誣), 사호일기세초(賜號日記洗草), 보감상종묘(寶鑑上宗廟), 유현종사(儒賢從祀), 토역(討逆)에 관련된 반교문을 수록하고 있다.

반교문에 반영되어 있는 각종 행사에서의 정부와 왕실측 입장을 통해 조선시대 정치사의 동향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연륜(演綸)』
『반교문(頒敎文)』
집필자
박인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