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지봉 소나무 ( 소나무)

목차
식물
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양강도 삼지연시 신무성노동자구에 있는 소나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양강도 삼지연시 신무성노동자구에 있는 소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352호. 백두산의 대연지봉과 소연지봉 사이에서 자라고 있다.

연지봉소나무가 자라고 있는 근처에는 고산지대의 풀이 자라고 소연지봉지대에는 자작나무, 이깔나무 등과 더불어 낙엽수가 자라고 있다. 봇나무도 자란다고 하였는데 봇나무는 자작나무이다.

주변토양은 백두산에서 분출되어 쌓인 부석층이 두껍게 깔려 있으므로 물이 잘 빠진다. 이 지대의 연평균 기온은 -6℃이고 7월의 평균기온은 10℃이며 겨울에는 -40℃를 오르내린다. 연중 바람이 세고 특히 서북풍이 많다. 안개가 끼고 눈비가 잦으므로 날씨는 차고 습하다.

연지봉소나무는 이러한 불리한 환경에서 자라온 결과 특이한 형태가 되었다. 연지봉소나무는 키가 자라지 못하고 반송처럼 밑에서 갈라지고 솔잎도 길이 3∼5㎝이며 솔방울이 길이 3㎝이다. 연지봉소나무는 해발 2,110m에서 자라면서 적응된 형태이므로 학술자료의 하나로서 중요시 된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