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매천리 미선나무 자생지 ( 미선나무 )

목차
관련 정보
영동 매천리 미선나무 자생지
영동 매천리 미선나무 자생지
식물
생물
국가유산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매천리에 있는 미선나무 자생지.
국가자연유산
지정 명칭
영동 매천리 미선나무 자생지(永同 梅川里 尾扇나무 自生地)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생물과학기념물/분류학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천연기념물(1990년 08월 02일 지정)
소재지
충북 영동군 영동읍 매천리 산4-9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매천리에 있는 미선나무 자생지.
내용

1990년 8월 2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면적 2만 4,597㎡. 이 미선나무는 영동읍의 백천내 옆에 있는 언덕의 사면에서 자라고 있고, 커다란 아까시나무들이 군데군데 자라는 가운데 다른 식생과 더불어 생성하여 우리나라 특산식물연구의 학술자료가 되고 있다.

식생내용을 보면 큰 나무류에는 가침박달·갈참나무·개살구나무·광대싸리나무·굴참나무·굴피나무·느티나무·산사나무·상수리나무·신갈나무·복자기·졸참나무 등이 있고, 관목류에는 까마귀밥여름나무·광대싸리·국수나무·보리수·분꽃나무·생강나무·소태나무·숫명다래나무·조팝나무·쥐똥나무 등이 있으며, 덩굴식물류에는 다래나무·복분자딸기·으름덩굴·인동덩굴·줄딸기·찔레나무·청가시나무 등이 있다.

초본류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류와 더불어 개맥문동·골잎원추리·낚시고사리·애기석위 등이 특히 눈에 띄며, 목본류 중에서는 가침박달·분꽃나무·숫명다래나무 등이 같이 자라고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천연기념물편-』(문화재관리국, 199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