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부용리 고분 ( )

목차
관련 정보
영동 부용리 고분 내부
영동 부용리 고분 내부
선사문화
유적
국가유산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굴식돌방무덤. 봉토석실분.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영동 부용리 고분(永同 芙蓉里 古墳)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고분군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기념물(1981년 05월 01일 지정)
소재지
충북 영동군 영동읍 부용리 73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굴식돌방무덤. 봉토석실분.
내용

1981년 충청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1기. 이 고분은 지금 지상의 봉분은 유실되어 없어졌으나, 내부구조는 지하에 잘 보존되어 있다.

남북으로 긴 직사각형에 가까운 현실(玄室)의 동벽쪽에 현실로 들어오는 널길[羨道]이 달린 ㄱ자형 평면의 석실고분이다. 네벽은 네모꼴로 다듬은 돌로 쌓았는데, 남벽과 북벽은 수직으로 올라갔고, 동서 두벽은 위쪽이 안으로 좁아지도록 경사로 축조되었다.

뚜껑은 큰 판석(板石) 두 장을 잇대어 덮었다. 현실의 크기는 남북 길이 350㎝, 동서 너비 210㎝이며, 벽의 높이는 145㎝이다. 이 고분은 부장유물을 알 수 없어 축조연대를 정확히 밝힐 수는 없으나, 구조양식으로 보아 삼국시대 후기에 속하는 신라고분으로 추정되고 있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