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락 ()

목차
고대사
제도
삼국시대 고구려의 연호.
목차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의 연호.
내용

지금까지 확인된 고구려 연호 가운데 가장 오래 된 것으로서, 광개토대왕시대의 중국과 대등한 입장을 과시한 고구려 중심의 천하관(天下觀)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아울러 고구려 왕권의 강화를 뜻하기도 한다.

그런데 영락 연호는 다른 고구려 연호와 마찬가지로 사서에는 보이지 않고 금석문에서만 확인된다. 즉, 만주 집안현(輯安縣)에 있는 광개토왕릉비문과 평안남도 대안시 덕흥리에서 발굴된 고분 벽면에 남아 있는 유주자사(幽州刺史) 진(鎭)의 묵서명(墨書銘)에 보이고 있다.

그런데 광개토왕릉비문과 유주자사 진의 묵서명에 적힌 영락 연호에 의한 기년(紀年)은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 기재된 광개토왕의 즉위년과 1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광개토왕의 즉위년은 『삼국사기』에 의하면 392년 임진년이지만, 광개토왕릉비문에 의하면 영락 5년은 을미년이므로, 영락 1년은 391년, 즉 신묘년이 된다.

이 경우 당대의 금석문인 광개토왕릉비문의 기년(紀年)이 옳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참고문헌

『한국금석전문-고대-』(허흥식 편, 아세아문화사, 1984)
「廣開土境好太王陵碑に就いて」(今西龍, 『朝鮮古史の硏究』, 1937)
집필자
이도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